전폐희문 ()

목차
국악
작품
종묘제례(宗廟祭禮) 중 전폐(奠幣: 예물인 비단을 올리는 절차)에서 연주되는 악곡.
목차
정의
종묘제례(宗廟祭禮) 중 전폐(奠幣: 예물인 비단을 올리는 절차)에서 연주되는 악곡.
내용

전폐례에서 희문(熙文: 「보태평(保太平)」 11곡 중 첫 번째 음악)의 선율이 연주되므로, 의례 절차명 ‘전폐’와 악곡명 ‘희문’을 결합하여 ‘전폐희문’이라고 칭하게 된 것이다.

이 음악은 연주 속도의 차이만 있을 뿐 선율 자체는 종묘제례 중 영신(迎新: 신을 모시는 절차)에서 연주되는 ‘영신희문’, 종묘제례 중 초헌례(初獻禮: 첫 번째 술을 올리는 절차)에서 연주되는 ‘희문’의 멜로디와 같다. ‘전폐희문’은 등가(登歌)라는 악대에 의해 느린 한배[tempo]로 연주되는 차별성을 지닌다.

20자로 구성된 노래 가사에는 조상들이 폐백을 받고 기뻐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원문과 번역은 다음과 같다.

菲儀尙可交(비의상가교),보잘 것 없는 의례로도 교통할 수 있는데

承筐將是帛(승광장시백).광주리를 받들어 폐백 올립니다

先祖其顧歆(선조기고흠),선조께서는 (이것을) 돌아보시고 흠향하소서

式禮心莫莫(식례심막막).예를 올리는 마음 성하게 일어납니다

현황

종묘제례악 전수교육조교, 이수자, 전수생에 의해 보존과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종묘제례악』(김영숙 ‧ 이숙희 ‧ 송지원, 국립문화재연구소/민속원, 2008)
「종묘제례악의 음악적 고찰」(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집필자
이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