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력기축 사마방목 ( )

만력기축 사마방목
만력기축 사마방목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1589년 소과 시험 합격자 명단을 후대 전사하여 성책한 방목.
정의
1589년 소과 시험 합격자 명단을 후대 전사하여 성책한 방목.
개설

사마방목은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생원과 진사의 명부로, 문과 방목과 동일한 형식으로 편찬되었다. 만력 기축년에 실시된 과거시험은 조선 건국 이후 태조 이성계의 가계에 대한 명나라 측의 오류를 바로잡은 이른바 ‘종계변무(宗系辨誣)’에 관한 문제가 1588년(선조 21)에 이르러 원만히 해결되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 이듬해 시행되었다. 이때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한 호성공신 박동량에게 반사한 방목이다. 2011년 3월 8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고려 권신인 이인임(李仁任)의 아들이라는 잘못된 종계 정보가 명나라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수록되었다. 조선에서는 초기부터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려는 노력을 시도하였는데, 이를 ‘종계변무(宗系辨誣)’라고 한다.

종계변무는 조선 전기 대명 외교의 핵심 과제였다. 이에 조선은 명나라에 종계의 수정을 지속적으로 요청함에 따라 1588년(선조 21)에 『대명회전』의 관련 기록이 정정 간행되어 그 이듬해 만력 기축년[1589년]에 수정본이 국내에 전달되었다. 이해에 조정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증광시(增廣試)를 시행하였는데, 이를 ‘만력 기축년 개종계 증광시(萬曆己丑年改宗系增廣試)’라 한다. 그리고 과거시험에 입격한 합격자 명부를 재주갑인자(再鑄甲寅字)로 인쇄하여 반포하였다. 당시 반사한 갑인자본은 유일본으로, 성균관 대학교 존경각에 보관되어 있다. 이 방목은 당시 간행된 활자본을 망실하여 후대에 박동량(朴東亮, 1569~1635)의 후손 박태만(朴泰萬, 1642∼1689)이 다시 필사한 전사본(轉寫本)이다. 전사한 시기는 박동량의 「호성공신교서」를 1680년(숙종 6)에 재발급 받은 사실로 보아, 이때 같이 재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이 방목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박동량에게 반사한 원본이 망실되어 후대에 다시 정서(淨書)하여 만든 전사본 1책이다. 표지의 왼편에는 대자로 ‘만력기축 사마방목(萬曆己丑司馬榜目)’이란 제목이 묵서되었고. 오른쪽 위쪽에는 소자 2행으로 ‘개(改)/종계 증광(宗系增廣)’이 묵서되었으며, 장황은 백사(白絲)로 5침으로 편철한 선장본이다. 합격자 명부는 반엽에 9행 16자로 구성하고 1인에 3행씩 할당하여 반쪽 면에 3인을 수록하였다.

내용

이 방목은 1589년(선조 22)에 시행한 증광시의 합격자를 수록한 명부인데, 문과방목의 형식에 따라 등수별로 합격자의 출신과 성명, 생년, 자, 본관, 거주지, 부친의 과환(科宦), 형제의 과환 등을 기술하였다. 전체 수록 현황은 생원시 1등에 황근중 등 5명과 2등에 박동량 등 25인, 3등에 이경 등 75인이 수록되었다. 본문은 해서로 반듯하게 정서되었고, 난 외의 여백에는 해당 인물의 기축년 이후의 과환에 관한 사항을 세소자로 주기하였다. 간혹 합격자의 이름 부분에 청색이나 붉은색 원점이 찍혀있다.

의의와 평가

이 방목은 비록 원본을 다시 정서한 전사본이지만, 조선 중기의 과거 합격자 1백여 명에 대한 전기 자료를 수록하고 있어서 그 당시 인물들의 가계를 살피는데 참고가 된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송일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