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한인연합감리교회 ()

개신교
단체
1904년 샌프란시스코지역 한인들이 설립한 한인감리교회.
이칭
이칭
상항한국인연합감리교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04년 샌프란시스코지역 한인들이 설립한 한인감리교회.
연원 및 변천

1904년 9월 23일 안창호, 이대위 등 9명의 교포들이 모여 친목회를 조직하고 가정예배를 드리면서 교회 창립의 기초를 다졌다. 이후 교회 설립은 두 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먼저 1905년 7월 미국 북감리교회가 중심이 되어 감리사 존스(H. B. Johson)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고, 이후 문경호와 방화중 전도사가 그 뒤를 이어 목회를 하였다.

1905년 당시 교인수는 55명을 헤아렸다. 그런데 1906년 미국 북감리교회가 선교정책을 조정하면서 한인교회의 활동이 중단되고 대신 남감리교회가 그 자리를 맡게 되었다. 그 해 7월 신학공부를 위해 양주삼이 샌프란시스코에 오자 남감리교회의 리드(C. F. Reid)목사가 양주삼을 중심으로 1906년 12월 16일 상항한인교회를 다시 설립하였는데, 설립 당시에 30여 명의 한인들이 출석하였다.

1908년 11월 1일 미국 남감리교단의 승인을 받아 정식 교회로 자리 잡았다. 첫 교회 건물은 캘리포니가(California Street) 2350번지에 있는 3층 개인주택을 임대해 사용하였다.

1907년 10월 부시가(Bush Street) 2123가로 이전한 후, 1908년 12월부터 양주삼의 주도로 월간 신앙잡지 『대도(大道, The Korean Evangel)』를 창간하였다. 『대도』는 당시 미주한인사회에 한글로 발행된 첫 잡지로 교회 활동 소식과 설교, 성경지식, 각종 시사 및 상식 등의 내용을 담았는데, 신앙 증진은 물론 구국을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었다.

1909년 6월 양주삼이 신학공부를 위해 미국 동부로 떠난 뒤 그 해 12월부터 윤병구가 교회를 맡았다. 윤병구는 1910년 11월 교회 내 대한소학교를 설립해 한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일 1시간씩 한글과 한국의 역사를 가르쳤다.

1911년 2월 1일 윤병구가 사임한 후 1928년까지 이대위가 목회를 담임하였고, 이후 황사선(1928∼1942), 김하태(1943∼1945), 임두화(1945∼1948), 양주은(1948∼1949)이 교회 목회를 담당하였다. 이후 교회를 담임한 목회자로는 안병주, 송정률, 차원태, 유석종, 박철수, 박한규, 김진호, 김택규, 박효원, 송계영이다. 이대위 목사시절인 1928년 교회 이전 신축을 단행해 1930년 6월 1일 포엘(Powell Street) 1123번지에 완공하였다.

현황

교회는 1995년 12월 22일 1,675,000불에 중국인이 운영하는 광명불교도협회에 매도되어 현재 광명도현옥제궁전(光明道玄玉帝宮殿)이라는 중국인의 절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의 교회는 1994년 5월 15일 유다가(Judah Street) 3030번지로 이전 신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샌프란시스코는 한인들이 미국으로 들어가는 주요 관문인데다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가 있는 곳이어서 미주한인 활동의 중심지였다. 장인환·전명운의 스티븐스처단의거 때 재판후원활동이나 경술국치 때 ‘합방반대운동’을 위한 주요 집회장소로 사용되었다. 또 윤병구, 이대위, 황사선 등은 교회의 지도자이자 미주한인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며 교회 활동의 주요 방향을 독립운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해방 이전 교회는 기독교 신앙 증진은 물론 민족운동과 민족의식을 고양하는데 앞장선 민족교회로 활동하였다.

참고문헌

『공립신보』;『신한민보』
『잊혀진 미주한인사회의 대들보 이대위』(최기영, 역사공간, 2012)
『애국지사 이대위』(유석종 편, 북산책, 2010)
『샌프란시스코의 한인과 교회』(성백걸, 상항한국인연합감리교회 100년사 편찬위원회,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