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원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미국으로 노동 이민하여 신한부인회 총무,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총단장, 흥사단원 등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김혜원, Sarah Kim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85년(고종 22) 11월 21일
사망 연도
1982년 05월 31일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
내용 요약

강혜원은 일제강점기 미국에서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총단장, 흥사단원 등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1885년(고종 22)에 태어나 1982년에 사망했다. 1905년 동생 강영승의 노동이민에 어머니 황마리아와 함께 하와이로 이민을 갔다가 캘리포니아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미국 각지의 부인회를 통합하여 대한여자애국단을 결성하여 임시정부 지원, 독립신문 후원, 적십자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2년 흥사단에 입단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였으며, 1942년 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미국으로 노동 이민하여 신한부인회 총무,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총단장, 흥사단원 등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평안남도 평양성 안에서 아버지 강익보(康翊普)와 어머니 황마리아 사이에 2남 1녀 중 맏딸로 태어났다. 김성권(金聲權)과 결혼한 후 남편 성을 따라서 미주에서는 김혜원으로 통했으며, 영어 이름은 사라 김(Sarah Kim)이다. 어머니 황마리아는 맏딸 강혜원을 비롯해 3자녀를 동반하고 1905년 4월 하와이로 가는 이민선을 타고 인천을 출발하였다. 당시 17살이었던 동생 강영승의 노동이민에 가족이 동반하는 식으로 이민하였다.

5월 13일 하와이 가피올라니(Kapiolani) 농장에 배치된 강혜원은 바느질을 업으로 하며 하와이 마노아벨리(Manoa Valley) 여학교를 다녔다. 북미 중가주 롬폭(Lompoc)에 거주하는 김성권과 약혼하고 1913년 10월에 북미 캘리포니아(California)로 이주해 12월 9일 혼인, 다뉴바(Dinuba)에 정착하였다. 결혼 후 김성권과 사이에 3형제를 두었으며 막내아들은 전 하버드 음악대학 교수를 지낸 작곡가 김얼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3.1운동의 소식을 듣고 대한인국민회광복운동을 후원할 목적으로 다뉴바에서 신한부인회(新韓婦人會)를 조직하고 총무로 복무하였다. 이후 5월 18일, 각 지방에 분립된 각 지역의 부인회를 합동하고 운동 역량을 한 곳에 집중하고자 한인부인회와 신한부인회가 합동을 결의하였을 때 주역이 되었다. 그리고 8월 2일, 다뉴바신한부인회 · 로스앤젤레스부인친애회 · 새크라멘토(Sacramento)한인부인회 · 샌프란시스코한국부인회 · 윌로우쓰(Willows)지방부인회 등과 통합을 이루어 대한여자애국단(大韓女子愛國團)을 결성하였다.

1920년 3월 13일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총단장 겸 총부(總府)위원에 취임하여 1924년까지 복무하면서 임시정부 지원, 독립신문 후원, 구미위원부 선전비, 간도동포 기근구제금, 광주학생운동 후원금, 충무공유적보존회 후원, 중국 군사 위로금, 중국 난민 구제, 일본상품 배척, 적십자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강혜원은 1922년에 흥사단에 입단하여 제155번 단원이 되었으며 남편 김성권과 함께 흥사단에서 적극 활동하였다. 1939년 12월 27일, 제8대 대한여자애국단 총부단장에 다시 선출되어 1942년 1월까지 대한여자애국단을 지도하였다. 주1 때 송미령에게 중국군 솜옷 지원 주2을 보내고 광복군 후원금을 모금해 임시정부에 송금했으며 미국 전시공채를 매입하는 등 적극적인 전시공작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2년 5월에 주3가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으로 흡수 통합하자, 남편 김성권과 함께 주4 미주총지부를 결성하여 진보적 노선 편에서 활동하였다. 1944년 대한여자애국단 참석 대표로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 가담하여 임시정부 지원 모금과 재정지원 확보 활동을 하였다.

1982년 5월 31일 상오 10시 96세를 일기로 로스앤젤레스에서 타계하였으며 유해는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1995년 대한민국 정부는 주5주6하였다.

참고문헌

『新韓民報』(191903.29; 1919.4.3; 1919.10.4)
『미주이민100년』(민병용, 한국일보사 출판국, 1986)
『대한여자애국단사』(김운하, 신한민보사, 1979)
『재미한인오십년사』(김원용, 캘리포니아, 1959)
「김혜원 흥사단이력서」(독립기념관 소장 『미주 흥사단자료』, 1922)
주석
주1

1937년 루거우차오(盧溝橋) 사건에서 비롯되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전쟁. 일본이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고 일으켰는데 1945년에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우리말샘

주2

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하여 내는 돈. 우리말샘

주3

1938년에 중국 한커우(漢口)에서 김원봉 등이 조직한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의 군사 조직. 1942년에 일부는 한국광복군으로 흡수되고, 나머지는 이후에 조선 독립 동맹의 조선 의용군으로 개편되었다. 우리말샘

주4

1935년 중국 난징(南京)에서 독립운동 단체의 대표들이 각기 단체의 통일 전선을 모색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 한국 독립당, 신한 독립당, 조선 혁명당, 대한 독립당, 의열단의 대표 14명이 모여 결성하였다. 우리말샘

주5

건국 훈장 중 네 번째 등급. 우리말샘

주6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명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