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수월봉 화산 쇄설층 (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있는 수월봉의 화산 쇄설층.
지명/자연지명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제주 수월봉 화산 쇄설층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있는 수월봉의 화산 쇄설층이다. 수월봉은 약 18,000년 전에 일어난 수성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응회환이다.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드러난 수월봉의 해식애 단면에 응회환의 퇴적 구조가 잘 나타나므로 2009년에 천연기념물 제513호로 지정되었다. 수월봉의 화산 쇄설층에 입각한 퇴적 모델은 외국의 화산학 서적에도 소개되고 있을 정도로 베이스 써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산 쇄설층을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키워드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있는 수월봉의 화산 쇄설층.
개설

제주 수월봉 화산 쇄설층(碎屑層)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있는 수월봉의 화산 쇄설층이다. 수월봉은 약 18,000년 전에 일어난 수성 화산 활동(hydro-volcanism)으로 만들어진 주1 73m의 응회환(tuff ring)이다. 주2지하수와 만나 수증기 마그마 폭발이 일어나면 화산 주3주4이 뒤섞인 난류 상태로 지표면을 따라 사방으로 퍼지는 베이스 서지(base surge)가 발생하여 비고가 낮은 응회환이 만들어진다. 해안에 위치한 화산체이므로 주5의 침식 작용으로 드러난 주6 단면에 응회환의 퇴적 구조가 잘 나타나므로 2009에년 천연기념물 제513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수월봉의 화산 쇄설층은 해식애를 따라 연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화산 쇄설층의 주7는 화산체의 중심에서 말단까지 장소별로 대비가 가능할 만큼 매우 좋은 주8을 갖고 있다. 예컨대, 주9에 인접하거나 화산체 중간부의 장소는 주10가 희미한 주11 응회암으로, 화도에서 멀리 떨어진 말단부는 주12이 얇은 응회암으로 나타난다. 이를 바탕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입자 농도가 감소하고 난류 운동이 증가하는 베이스 써지의 퇴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외국의 화산학 서적에서 수월봉의 퇴적 모델이 소개되고 있을 정도로 베이스 써지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산 쇄설층을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뛰어난 장소이다.

명칭 유래

수월봉의 수월은 1910년 오위장군을 지낸 수월공(水月公) 고지남의 숭모비를 세울 때 주13에 그의 호를 따서 수월봉이라 쓴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 녹고와 수월이 남매의 전설 때문에 녹고물오름 또는 수월이오름이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오창명, 『제주도 오롬 이름의 종합적 연구』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지광훈, 김태호, 장동호, 이성순, 『위성에서 본 한국의 화산지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
김용제, 『제주도 지질여행』 (한국지질자원연구원·제주연구원, 2020)

논문

Sohn, Y. K. & Chough, G. K., Depositional processes of the Suwolbong tuff ring (Sedimentology 36(5), 1989)
주석
주1

어떤 범위 안의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의 차. 우리말샘

주2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지열(地熱)로 녹아 반액체로 된 물질. 이것이 식어서 굳어져 생긴 것이 화성암이고, 지상(地上)으로 분출하여 형성된 것이 화산이다. 우리말샘

주3

화산에서 분출하는 가스. 수증기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 이산화 탄소, 이산화 황, 수소, 질소, 황화 수소 따위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4

자질구레한 부스러기로 이루어진 물건. 우리말샘

주5

잔물결과 큰 물결. 우리말샘

주6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7

광맥(鑛脈), 암석이나 지층, 석탄층 따위가 지표(地表)에 드러난 부분. 광석을 찾는 데에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우리말샘

주8

늘이어 길게 할 수 있는 성질. 우리말샘

주9

땅속에서 화구로 통하는, 화산 분출물의 통로. 우리말샘

주10

퇴적암에서 층을 이루는 입자의 크기, 색, 조성 구조 따위가 달라서 생기는 결. 우리말샘

주11

화산이 분출할 때에 터져 나오는 용암의 조각. 이미 굳어진 암석이 폭발하여 파괴된 것으로, 지름은 4~32mm이다. 우리말샘

주12

물결의 모양. 우리말샘

주13

비석에 새긴 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