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득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의 단원으로 밀양폭탄사건에 가담하였으며, 신간회, 조선공산당 재조직 준비위원회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본명
김태희(金泰熙), 김태희(金台熙)
이명
김인직(金仁稙), 김기희(金奇熙), 김극(金克), 박진환(朴鎭丸), 백남두(白南斗)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9년 11월 9일
사망 연도
1933년 4월 6일
출생지
서울
대표 상훈
대통령표창|건국훈장 애국장
내용 요약

김기득은 일제강점기, 국내와 중국, 일본에서 의열단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3 · 1운동 때 서울의 만세시위에 참여한 후, 1920년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국내 일제 기관 총공격 거사의 행동요원으로 대기하던 중 체포되어 장기 옥고를 겪었다. 출옥 후 신간회 활동을 거쳐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었다. 다시 2년의 옥고를 겪고 출옥한 뒤, 그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의 단원으로 밀양폭탄사건에 가담하였으며, 신간회, 조선공산당 재조직 준비위원회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본명은 김태희(金泰熙, 金台熙)이고, 김기득(金奇得)은 독립운동 초기에 쓰인 이명이다. 1899년 11월 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창엽(金昌燁)이다.

주요 활동

정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양정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였으나 1년을 다니다가 그만두고, 용산철도학교(龍山鐵道學校)에 들어가 1년간 수학하였다. 그 후 17세부터 20세까지 부산역 전신계(電信係) 직원으로 일하였고, 1918년 9월부터 철도국 임시 직원이 되었다.

1919년 3월 23일 밤, 서울 종로3가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붙잡혔다. 재판 받고 1심에서 징역 8월형이 언도되었으나,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1920년 3월경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김원봉(金元鳳)을 만나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였다.

제1차 국내 적 기관 총공격 거사에 동참하기 위해 4월경 서울로 들어와 사직동(社稷洞) 본가에서 은신 대기하였다. 6월 중순에 부산으로 가서 폭탄 보관 책임자 이수택(李壽澤을 만나 김원봉의 조속결행 명령을 전달하고 귀경하던 중 서울역에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1년 소위 밀양폭탄사건으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고 마포(麻浦) 경성감옥에서 복역하다 감형되어 1926년 4월 출옥하였다.

그 후 영화사 극동키네마에 들어가 일하다가 일본 오사카[大阪]로 건너갔다. 1927년 12월 신간회(新幹會) 오사카지회 창립 때 서기장 겸 10인 대표위원의 일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그러다 귀국하여 1929년 김단야(金丹冶) 주도의 ‘조선공산당 재조직 준비위원회’에 가담하였다가 1930년 종로경찰서에 체포되었다.

1931년 10월 징역 2년형을 받고 복역한 후 1933년 2월 만기 출옥하였다. 그러나 옥고를 치른 후유증으로 두 달 만에 병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등경찰요사』(경상북도경찰부, 1934)
「경고비(京高秘) 제3002호, 조선공산당조직계획 검거의 건(제2보)」(경기도지사, 1930. 4. 7.)

단행본

김영범, 『의열투쟁 Ⅰ- 1920년대』(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27(국사편찬위원회,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 1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논문

김영범, 「의열단 창립단원 문제와 제1차 국내거사기획의 실패 전말: 13인설 재검토와 ‘구영필 문제’의 숙고를 중심으로」(『한국독립운동사연구』 5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판결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21. 6. 21.)
「판결문」(경성복심법원, 1919. 7. 12.)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19. 5. 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