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조표전총류 권6~11 ( ~)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조선 초기, 송나라 표(表)와 전(箋) 중 모범이 될 만한 것을 뽑아 계미자로 간행한 책.
이칭
이칭
송표(宋表)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초
간행 시기
조선 초
권책수
6권 3책
권수제
송조표전총류(宋朝表箋總類)
판본
금속활자본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8년 06월 2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내용 요약

송조표전총류 권6~11은 조선 초기, 송나라 표(表)와 전(箋) 중 모범이 될 만한 것을 뽑아 계미자로 간행한 책이다. 조선 초기 국가의 각종 의전에서 국왕에게 올리는 표전(表箋)의 작성에 참고하기 위하여 중국 송나라의 표전을 뽑아 간행한 책이다. 전본이 거의 없는 희귀본이고,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여 인쇄한 금속활자본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

정의
조선 초기, 송나라 표(表)와 전(箋) 중 모범이 될 만한 것을 뽑아 계미자로 간행한 책.
서지 사항

『송조표전총류』 권6~11은 6권 3책으로, 조선 최초의 금속활자계미자(癸未字) 대자와 소자로 인쇄된 금속활자본이다. 오침안(五針眼)의 선장본(線裝本)으로, 표지는 앞뒤로 개장되어 있다.

책 크기는 세로 26.8㎝, 가로 18.5㎝이다. 권수제는 ‘송조표전총류(宋朝表箋總類)’이며 판심제는 ‘송표(宋表)’이다. 판식은 상하단변 좌우쌍변이고, 반곽의 크기는 세로 23.7㎝, 가로 15.4㎝이다. 행자수는 8행 21자이며 어미는 상하하향흑어미(上下下向黑魚尾)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인쇄 시기는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계미자 대자와 소자가 사용된 것으로 보아 태종(재위 1400~1418) 연간에 인쇄된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 초기에 국왕에게 올리는 표전(表箋) 작성에 참고하기 위해 중국 송나라의 표전에서 모범이 될 만한 것을 추려서 모은 것이다.

표전 작성을 위한 모범본의 필요에 대해서는 이미 조선 건국 때부터 그 편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므로, 그러한 요구에 따라 관료들의 표문 및 전문 작성의 본보기로서 활용되었을 것이다.

구성과 내용

본문은 종묘(宗廟)와 명당(明堂)의 제사, 대행(大行) 등의 국가 주요 행사 시에 올렸던 문서들을 하나의 사례로서 기록하고 있다. 특정 인물의 아래에는 해당 인물의 표전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판본

계미자를 사용하여 인쇄한 『송조표전총류』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본 유물 권6~11 외에 3건이 알려져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의 권7에 해당하는 영본(零本) 1책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고,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권8~10,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본 권1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전본(傳本)이 거의 없는 희귀본으로 조선시대 최초의 금속활자인 계미자의 대자와 소자를 사용하여 인쇄한 금속활자본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금속활자 발달사 연구에 가치가 매우 크다. 2018년 6월 27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남권희, 『지식 정보의 소통과 한국금속활자 발달사-조선시대』(경북대학교 출판부, 2018)
『(국보 제150호)송조표전총류』(문화재청, 2006)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