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간에는 보통 승하한 왕을 대행대왕(大行大王) 또는 대행왕(大行王)이라 불렀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승하하면 중국에 세 종류의 사신을 보냈다. 왕의 부고를 알리는 고부사(告訃使), 후계왕의 즉위를 요청하는 청승습사(請承襲使), 그리고 왕의 시호를 요청하는 청시사(請諡使)였다. 보통 이 세 종류의 사신을 한 사람이 겸해 고부청시청승습사(告訃請諡請承襲使)라 했다.
조선에서 중국에 왕의 시호를 요청하는 청시사를 보낸 이유는 제후국을 자처한 조선이 중국황제에게 승하한 왕의 일생을 평가하여 그의 공덕을 기리는 호칭을 내려 달라는 의미에서였다. 청시사의 요청을 받으면 중국에서는 보통 두 글자의 시호를 지어 보냈다.
태조 이성계의 경우는 중국에서 강헌(康獻)이라는 시호를 보냈는데, 강(康)은 온화, 선량하고 낙을 좋아한다는 의미이고 헌(獻)은 총명하고 예지가 있다는 뜻이다. 세종의 경우는 장헌(莊憲)이라는 시호를 보내 주었는데, 장(莊)은 엄격, 공경으로 백성에게 임한다는 의미이고 헌(憲)은 선행이 기록할 만하다는 뜻이다.
중국에서 시호를 보내면 그 때부터는 선왕을 부를 때 대행왕 대신 시호를 붙여서 불렀다. 왕의 3년상이 끝나고 종묘에 부묘(祔廟)할 때가 되면 신료들이 그 왕의 치적을 평가하여 두 글자의 묘호(廟號)를 올렸다.
예컨대 공이 뛰어난 왕에게는 조(祖)자를 붙이고 덕이 뛰어난 왕에게는 종(宗)자를 붙여서 올렸다. 태조 이성계는 개국의 공을 평가한 것이고 세종은 문물 정비의 덕을 기린 것이라 하겠다.
선왕을 부를 때는 제일 먼저 묘호를 부르고 다음에 시호를 붙이며 마지막으로 존호(尊號)를 붙였다. 세종의 경우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이라고 하는데, 세종은 묘호이고 장헌은 시호이며 영문 이하는 존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