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부흥운동 ()

개신교
사건
1903년 원산에서 일어난 부흥회와 그에 따른 한국 교회의 영적 각성운동.
내용 요약

원산부흥운동은 1903년 원산에서 일어난 부흥회와 그에 따른 한국 교회의 영적 각성 운동이다. 한국의 선교 부진이 성령의 인도와 능력을 따르지 않았음을 깨달은 선교사 하디가 한국인 회중 앞에서 자신의 교만과 실수를 공개적으로 자복하였다. 공개 자복과 윤리적 갱신은 원산부흥운동의 특징적 현상이 되었다. 원산에서 시작된 하디의 부흥운동은 1904년 이후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1907년 1월 평양 대부흥운동은 초기 한국기독교사에 큰 획을 그었다. 원산부흥운동을 통해 새벽기도와 통성기도 같은 ‘토착적’ 신앙 양태가 나타나면서 외래 기독교가 한국의 토착 교회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정의
1903년 원산에서 일어난 부흥회와 그에 따른 한국 교회의 영적 각성운동.
개설

원산 부흥운동은 좁은 의미로 1903년 원산에서 남 감리회 선교사 로버트 하디(R. A. Hardie, 1865∼1949)가 인도한 사경회주1를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1903년 하디 부흥회 이후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 지속된 한국교회 부흥운동을 지칭한다.

역사적 배경

원산 부흥운동이 일어났던 시기(1903∼1906년)는 한국에서 개신교 선교가 시작된 지 20년이 되었지만, 기대했던 선교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중국 주2(1900년) 여파로 선교사 배척 분위기가 확산되어 선교사들이 실망과 위기를 느끼던 때였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도 신축년 대기근(1901년) 이후 민중의 경제적 파탄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러일전쟁(1904년)을 앞두고 정치적 불안도 가중되던 상황이었다. 이처럼 정치사회적 불안과 신앙적 위기가 점증되던 시기에 원산에서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경과

원산 부흥운동은 1903년 여름 중국에서 사역하다 한국을 방문한 미국 남감리회 여선교사 화이트(M. C. White)가 원산에서 사역하던 남감리회 여선교사 캐롤(A. Carroll)과 노울즈(M. Knowles), 하운셀(J. Hounshell), 그리고 캐나다 장로회 여선교사 매컬리(I. H. McCully) 등과 함께 한 사경회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8월 24일부터 한 주간 동안 사경회를 갖기로 하고, 하디에게 성경공부 인도를 부탁하였다. 당시 한국 선교 13년 차였던 하디는 선교 실적 부진으로 인한 실망감과 피로감으로 지쳐 있던 상태였다. 그런데 사경회를 인도하는 중 하디는 선교 실패와 부진의 원인이 밖에 있지 않고 ‘성령의 인도와 능력’을 따르지 않은 자신에게 있음을 깨닫고 회개하는 순간 ‘성령 충만’과 믿음의 확신이 생겼다. 당시 하디와 함께 집회에 참석했던 선교사들도 같은 경험을 하였다.

선교사 사경회를 마친 다음 주일예배 때 하디는 한국인 회중 앞에서 자신의 교만과 실수를 공개적으로 자복하였고, 그것이 ‘회개의 본’이 되어 한국 교인들의 공개 자백을 이끌어냈다. 9월 초 하디가 인도한 원산교회 직원 부흥회, 10월에 원산을 방문한 미국 스칸디나비아선교회 지도자 프랜슨(F. Franson)이 인도한 부흥회, 그리고 프랜슨 부흥회 직후 하디가 인도한 특별 부흥회에서도 교인들의 공개적 자복현상이 나타났다. 당시 교인들이 자복한 죄는 주로 횡령과 절도, 간음, 강간, 위선, 미움, 증오, 질투와 같은 ‘윤리적’ 내용이었다. 그리고 미워하고 증오했던 교인들 사이에 화해와 용서가 이루어졌고, 과거에 훔치거나 횡령한 것을 보상하거나 배상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김화 새술막교회 주3 전도사는 원산 부흥회에 참석했다가 주4 인천주전소에 근무하던 시절 되돌려주어야 했던 회사(정부) 돈을 사용했던 것을 기억하고, 그 돈을 마련해 탁지부에 되돌려 줌으로 ‘양심전’(良心錢)이란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런 공개 자복과 윤리적 갱신이 원산 부흥운동의 특징적 현상이 되었다.

원산에서 시작된 하디의 부흥운동은 1904년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하디는 1904년 1월에 개성 지방 사경회를 인도하였고, 2월에 김화 새술막교회와 지경터교회, 4월에 서울 자골교회 부흥회를 인도하였는데, 여기서도 공개 자복 현상이 나타났다. 이때까지 부흥의 범위는 하디가 속한 남감리회 소속 교회들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해 9월 서울 정동제일교회 부흥회를 시작으로 10월 평양 지방, 11월 인천 지방에서 연합부흥회를 인도하였는데, 이곳은 교단이 다른 미감리회 구역이었다. 하디는 인천 지방 연합부흥회를 마치고 안식년 휴가를 얻어 미국으로 돌아갔고 그가 없는 사이 크램(W. G. Cram)과 캐롤, 하운셀 등 다른 남감리회 선교사들이 1905년 개성과 원산, 서울 등지에서 부흥회를 인도하였다. 그리고 1905년 9월 장로교와 감리교 6개 선교부가 조직한 한국복음주의선교회연합공의회에서는 매년 연초에 각 지방별로 실시하는 사경회를 연합부흥회로 진행하기로 결의하였고, 그에 따라 1906년 1∼2월 서울과 원산, 평양 등지에서 초교파 연합 부흥회를 개최하여 원산부흥운동의 열기를 이어나갔다.

1906년 8월 안식년 휴가를 마치고 귀환한 하디는 곧바로 평양에 가서 선교사 연합사경회를 인도하였는데, 거기 참석했던 블레어(W. N. Blair)와 그레이엄 리(Graham Lee) 등 장로교 선교사들이 ‘성령 충만’을 경험했다. 그리고 한 달 후 미국 부흥운동 지도자 존스턴(H. A. Johnston)이 평양을 방문해서 영국 웨일즈와 인도에서 일어난 부흥운동 소식을 전함으로 평양의 선교사와 한국 교인들은 교회 부흥을 위해 기도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3개월 기도로 준비한 끝에 1907년 1월 평양 장대현교회숭덕학교에서 개최된 연합사경회에서 교인들이 공개적으로 통회 자복하는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초기 한국기독교사에 큰 획을 긋는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이 시작되었다.

의의와 평가

원산 부흥운동의 역사적, 종교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선교사의 회개로 시작해서 한국교회 지도자들의 회개로 이어져 교인들이 회개와 주5, 주6로 이루어지는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체득하였다. 둘째, 처음에는 남감리회 선교구역인 원산에서 시작되었지만, 점차 미감리회와 장로회 선교구역으로 확산되어 초교파 연합운동을 촉진시켰다. 셋째, 회개한 기독교인들의 ‘양심전’ 같은 윤리적 갱신이 이루어지고, 새벽기도와 통성기도 같은 ‘토착적’ 신앙양태가 나타나면서 선교사들이 소개한 기독교가 한국의 토착 교회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원산 부흥운동이 전개된 시기는 러일전쟁(1904년)과 을사5조약 체결(1905년)로 인한 민족적 위기 상황이었는데, 기독교인들이 정치 · 사회적 현실을 외면하고, ‘초월적’ 신앙에만 집착함으로써 교회의 ‘비정치화’(非政治化)를 심화시켰다는 비판적인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로버트 하디 불꽃의 사람』(이덕주, 신앙과지성사, 2013)
『로버트 하디, 한국교회 부흥의 뿌리』(기독교대한감리회, 하디1903성령한국준비위원회, 2013)
『한국교회 초기부흥운동 1903∼1907』(이창기, 보이스사, 2006)
『평양대부흥운동』(박용규, 생명의말씀사, 2000)
The Role of Robert Alexander Hardie in the Korean Great Revival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Chil-Sung Kim, Wilmore: Asbury Theological Seminary, 2012)
주석
주1

교인들의 믿음을 보다 깊고 굳게 하며 회개하게 하려고 모이는 예배 모임. 우리말샘

주2

중국 청나라 말기에 일어난 외세 배척 운동. 1900년 6월, 베이징에서 교회를 습격하고 외국인을 박해하는 따위의 일을 한 의화단을 청나라 정부가 지지하고 대외 선전 포고를 하였기 때문에, 미국을 비롯한 8개국의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ㆍ진압한 사건이다. 우리말샘

주3

일명 윤승근

주4

기독교인이 되기 전

주5

거듭남

주6

성결

집필자
이덕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