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갈동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에 있는 철기시대 움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에 있는 철기시대 움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전주서부우회도로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2003년과 2007년 호남문화재연구원 주관으로 진행된 두 차례의 구제발굴에서 17기의 토광묘가 조사되었다.

역사적 변천

2003년 4기와 2007년 13기의 초기철기시대 토광묘가 조사되었다.

내용

전북 전주시 북쪽에 우뚝 솟은 황방산에서 서북쪽으로 흘러내린 해발 30~40m 구릉지 남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토광묘는 대부분 등고선과 직교되게 남북으로 장축방향을 두었다. 묘광은 풍화암반층을 1단 혹은 2단을 파내어 마련되었으며, 그 평면 형태는 장방형 혹은 말각장방형이다. 유구의 규모는 길이 143~313㎝, 너비 43~162㎝, 남아 있는 높이는 20-170㎝로 다양하다.

유물은 1호 토광묘 남쪽 단벽 중앙부에서 세형동검 거푸집 1쌍이 출토되었으며, 3호에서 청동촉, 7호에서 다뉴세문경, 14호에서 세형동검 등의 청동유물이 나왔다. 그리고 철부, 철겸 등의 철기류와 점토대토기, 조합식 우각형파수부호 등의 토기류와 환형유리 등이 출토되었다.

특징

초기철기시대 분묘유적에서 여러 기의 토광묘가 함께 조사되어 커다란 주목을 받았으며, 1호 토광묘에서 세형동검 거푸집이 나와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유물의 조합상에서 청동유물과 철기류가 공반되어 전북지역으로 철기문화의 전파 과정과 전파 루트를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를 하였다.

의의와 평가

종래에 호남지방에서 학계에 보고된 함평 초포리, 전주 여의동, 장수 남양리 유적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유구 및 유물의 속성을 근거로 분묘유적의 중심연대가 기원전 2세기 후엽에서 기원전 1세기 후엽으로 추정된다. 유물의 속성이 서북한 지역 출토품과 관련성이 강해 바닷길과 만경강 내륙수로로 철기문화가 만경강유역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암시해 주었다.

참고문헌

『완주 갈동유적(Ⅱ)』(호남문화재연구원·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09)
『완주 갈동유적』(호남문화재연구원·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05)
집필자
곽장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