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왕’명 잔탁 ( )

공예
작품
국가유산
고려 후기 제작된 ‘왕(王)’자 명문 청자 잔탁.
작품/조각·공예
창작 연도
고려 후기
소장처
강진청자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상감‘王’명잔탁(靑瓷象嵌‘王’銘盞托)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8년 08월 05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청자촌길 21-11 (대구면) 고려청자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자상감‘王’명잔탁은 고려 후기 제작된 ‘왕(王)’자 명문 청자 잔탁이다. 강진에서 생산된 것으로 ‘왕’명 청자는 13세기 후반 도교 의례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강진 사당리 7호와 41호 혹은 강진 일대에서 ‘왕’명 청자가 수습되고 있어 생산지는 강진 사당리 일대로 여겨진다.

정의
고려 후기 제작된 ‘왕(王)’자 명문 청자 잔탁.
제작 배경

13세기 후반 왕실의 도교 의례를 위해 강진에서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고려 후기 강진에서 생산된 명문 잔탁이다. 본래 잔과 한 벌을 이루는 구성이나 잔은 소실되고 잔탁(盞托)만 전하고 있다. 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잔받침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잔탁은 꽃이 핀 형상의 전 부분에 흑상감으로 ‘왕(王)’ 명문이 상감기법으로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왕’명 청자는 주로 잔과 잔탁에 많이 남아 있는 점으로 보아 일상 기명보다는 의례용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통 도교신인 삼관(三官)의 관(冠)에 ‘왕’자명이 새겨진 예나 고려 왕실에서 도교 관련 제례가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에 빈번히 행해지는 것으로 보아 13세기 후반 도교 의례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왕’명 잔탁은 도교 의례 중 천관 · 지관 · 수관과 같은 도교상에 차나 술을 올리기 위해 사용했던 그릇으로 여겨진다.

현재 ‘왕’명 청자는 강진 사당리 7호와 41호 혹은 강진 일대에서 수습되고 있어 생산지는 강진 사당리 일대로 추정된다.

형태 및 특징

연판문으로 장식된 편평한 잔좌(盞坐) 아래로 꽃이 활짝 핀 형상의 6개의 전이 펼쳐져 있으며, 안쪽에는 흑상감으로 ‘왕(王)’명이 새겨져 있다. 전 아래 밖으로 뻗은 통형의 다리가 연결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세로선을 새겨 넣었으며, 굽 역시 세로선에 맞추어 오려냈다. 굽 일부는 결실되었으나 거의 완전한 형태이다. 태토는 회갈색으로 유약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시유되어 회청색을 띠며, 굽 접지면은 유약을 닦아 내고 모래를 받쳐 구워냈다.

의의 및 평가

현존하는 ‘왕’명 청자의 수량이 극히 일부로 희소성을 띠고 있고, 명문을 통한 용처와 용례의 추정이 가능하다. 또 생산지로 추정되는 강진에서 유사 파편이 수습되었기 때문에 고려 후기 명문 청자의 생산 연대 파악과 고려 후기 왕실 의례용 자기 생산과 수취 체제 연구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높다. 2008년 8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김윤정, 「고려말 · 조선초 명문청자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웹페이지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