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흥업주식회사 ()

근대사
단체
1914년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가 설립하여 일제 말까지 존속한 거대 농업회사.
내용 요약

불이흥업주식회사는 1914년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가 설립하여 일제 말까지 존속한 거대 농업회사이다. 후지이 간타로는 후쿠시마현 출신으로 1904년 후지모토합자회사 조선 지점을 설치하고 농지를 구입하여 후지모토농장을 경영하였다. 조선 농지의 수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임익수리조합과 대정수리조합을 설립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정책적 지원과 은행의 자금 지원을 받아 대규모 수리 사업을 중심으로 미곡 생산과 유통 사업을 확장하며 식민지 조선의 대규모 농업회사로 성장하였다. 불이흥업이 경영하는 농장에서는 가혹한 소작 조건으로 많은 소작쟁의가 발생하였다.

정의
1914년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가 설립하여 일제 말까지 존속한 거대 농업회사.
개설

불이흥업주식회사(不二興業株式會社)는 일제하 ‘조선 수리왕(水利王)’이라는 별명을 얻은 후지이 간타로가 1914년 설립한 농업회사이다.

수리조합주1 사업을 중점으로 하였으나 1920년대 말 경영 악화로 주2에 인수되었다. 1937년 이후 전시 체제 하에서 사세 확장을 도모하며 일제 말기까지 존속하였다.

창업주 후지이 간타로는 1876년 후쿠시마(福島)현 출신으로 러일전쟁 발발 후인 1904년 3월 일본군을 따라 내한하여 후지모토합자회사(藤本合資會社) 조선 지점을 설치하고 약 1,500정보의 농지를 구입하여 후지모토농장(藤本農場)[뒤에 불이전북농장이 됨]을 경영하는 한편 무역상도 병행했다.

농사 경영에 착수한 그는 조선 농지 대부분이 주3으로 농사 개량 투자의 위험성을 깨닫고 수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1906년 수리조합조례가 발표되자 이를 기회로 임익수리조합(臨益水利組合)을 설립키로 하여 1911년 준공했다.

1911년 평안북도 압록강구에 대규모 간척사업을 시작하였고, 이것은 이후 불이서선농장이 되었다. 1913년에는 대정수리조합(大正水利組合)을 설립하였다. 이것은 총독부의 정책적 지원과 각종 은행의 자금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연원 및 변천

후지이 간타로는 1914년 초 자본금 1백만 원 규모의 주식회사를 설립하기로 하고, 오사카 지역 자본가를 중심으로 창립 발기인을 모아 1914년 4월 8일 불이흥업주식회사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창업기(1914~1918) 불이흥업의 중점 사업은 수리사업이었다. 서선사업지(평안북도 압록강구) 간척 공사, 대정수리조합(평안북도 용암포) 공사에 이어 1919년 익옥수리조합(益沃水利組合)(전라북도 익산)을 설립하여 1백 척이 넘는 조선 최초의 콘크리트 댐으로 설계된 익옥수리조합 공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1920년대 들어 만성 불황과 세계 공황으로 자기 자본 조달에 차질을 빚은 데다 미가 하락과 서선농장의 장기간 소작쟁의까지 겹쳐 20년대 말 불이흥업의 재무구조가 극히 악화되면서 심각한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주 채권은행인 조선식산은행은 20년대 후반부터 불이흥업의 기구 개편, 이사 선임, 사채(社債) 발행 등에 간섭과 통제를 가했고, 30년대 초에는 기구 개편, 자본금 변경, 중역 선임에 개입함은 물론 업무 조사, 회계 감독까지 했고 결국 조선식산은행의 자회사(子會社)인 성업사(成業社)를 최대 주주로 만들고 1930년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를 은퇴시켰다.

소유권과 경영권을 조선식산은행에 넘긴 30년대 중반 이후 불이흥업은 준 전시 체제로의 이행 과정에서 일본 경제가 인플레이션 주4과 저금리 주5으로 공황에서 벗어나자 경영 정상화에 성공했고 주6 이후 본격적인 전시 체제를 맞아 단순한 위기 극복을 넘어 미증유의 사세 확장을 맞았다.

이에 따라 조선식산은행은 창립 이래 각 지점장과 본점 과장, 이사, 감사 등을 역임한 식은 출신 인사를 대규모로 불이흥업 중역회에 파견했다. 1940년 조선식산은행 산하의 농업 3사인 성업사, 불이흥업, 조선개척을 중심으로 공동 인수단을 구성하여 조선농기구제조㈜를 설립하는 한편 1944년 조선개척을 불이흥업에 흡수 · 합병시켰다. 산하 농업회사의 통폐합을 추진한 것인데 이로써 일제 말기 불이흥업은 동양척식주식회사에 버금가는 거대 농업회사가 되었다.

의의와 평가

1914년 설립된 불이흥업은 대규모 수리 사업을 중심으로 미곡 생산과 유통 사업을 확장하며 성장한 식민지 조선의 대규모 농업회사이다. 그러나 1930년대 경영이 악화되면서 조선식산은행에 경영권이 넘어가게 되었고, 전시체제 하에서는 오히려 사세가 확장되어 거대 농업회사가 되었다.

불이흥업이 경영하는 농장에서는 가혹한 소작 조건으로 인해 많은 소작쟁의가 발생했다. 해방 후 불이흥업은 미군정의 일본인 재산 동결 및 이전 제한 조치로 미군정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가 1946년 2월 해동흥업공사로 사명(社名)을 변경하고 소속 농지를 계속 경영하였다.

참고문헌

『식민지 조선과 일본, 일본인 : 호남지역 일본인의 사회사』(이규수, 다할미디어, 2007)
「일제하 금융자본의 농기업 지배 - 불이흥업(주)의 경영변동과 조선식산은행」(홍성찬, 『동방학지』 65,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0)
주석
주1

일정한 지역 안의 토지 소유자 또는 토지 가옥 소유자가 모여 농지에 대한 관개용(灌漑用) 저수지나 제방 따위에 관한 사업을 목적으로 조직한 법인체. 토지 개량 조합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현재는 한국 농어촌 공사로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2

1918년에 산업 기관에 자금을 대출할 목적으로 설립한 특수 은행. 동양 척식 주식회사의 실질적인 지배를 받으면서 일제의 한국에 대한 경제적 침략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광복 이후 한국 식산 은행으로 되었다가 1952년에 한국 산업 은행에 흡수되었다. 우리말샘

주3

빗물에 의하여서만 벼를 심어 재배할 수 있는 논. 우리말샘

주4

중기적인 관점에서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하고 금리, 통화량, 환율, 기대 인플레이션 따위를 활용하여 장래의 인플레이션을 예측한 후, 이를 바탕으로 중간 목표 없이 공개 시장 조작, 재할인정책 따위의 정책 수단을 써서 인플레이션 목표를 직접 달성하는 방식의 통화 정책. 우리말샘

주5

정부 또는 중앙은행이 인위적으로 금리 수준을 낮은 상태로 유지하는 정책. 경기 자극책 및 경제 성장 촉진책으로 실시된다. 우리말샘

주6

1937년 루거우차오(盧溝橋) 사건에서 비롯되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전쟁. 일본이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고 일으켰는데 1945년에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송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