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광천사 묘법연화경 권4~7 ( )

불교
문헌
문화재
1443년(세종 25) 전라도 화암사에서 간행된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
이칭
약칭
광천사 법화경(光天寺 法華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43년(세종 25)
저자
구마라집(鳩摩羅什)
권책수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광천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3년 5월 2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백록로 116(하북면, 광천사)
내용 요약

양산(梁山) 광천사(光天寺)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1443년(세종 25) 전라도 화암사에서 간행된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이다. 이 불경은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 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조선시대 명필가인 성달생의 발문이 포함되어 있다. 발문과 더불어 간행 시기와 간행처가 분명하여 조선 전기 불서 판본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2013년 5월 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443년(세종 25) 전라도 화암사에서 간행된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
저자 및 편자

요진(姚秦)의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한역(漢譯)하였고 송(宋)의 계환(戒環)이 주해(註解)하였다.

구성과 내용

『묘법연화경』은 초기 대승 경전(大乘經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불경이다.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法華經)』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것을 중심 사상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의 근본 경전으로 『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 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여러 민족에게 애호되었던 이 경은 서기 전후에 신앙심이 강하고 진보적인 사람들에 의해 서북 인도에서 최초로 소부(小部)의 것이 만들어졌고, 2차에 걸쳐 증보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종류의 한역본 중 구마라집이 번역한 『묘법연화경』 7권본이 가장 널리 보급 · 유통되었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8권본도 유통되었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8권본이 널리 보급 · 유통되었다.

28품으로 된 이 경은 그 전체가 귀중한 가르침으로 되어 있어서 어느 한 품만을 특별히 다룰 만큼 우열을 논하기 어렵지만,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제25품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이 관음신앙의 근거가 되어 특별히 존숭을 받아 왔고, 따로 『관음경(觀音經)』으로 편찬되어 많이 독송되었다.

또한, 제11품 「견보탑품(見寶塔品)」은 보살 집단의 신앙의 중심이 되었던 불탑숭배(佛塔崇拜)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다보탑과 석가탑 조성에 모체가 되기도 하였다. 제15품 「종지용출품(從地涌出品)」에서는 대지하(大地下)의 허공 속에 살고 있던 보살이 대지의 틈바구니에서 솟아오르듯이 나타나 허공에 서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또 제16품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은 영원한 생명, 근원적인 생명으로서의 부처를 체증(體證)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 보살들의 새롭고 깊은 불타관(佛陀觀)이 반영되어 있다. 부처는 언제나 이 주1에 머무르면서 중생을 교화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성불(成佛)하게 한다는 지극한 이상이 담겨 있고, 이것이 우리나라 법화신앙의 근거로 크게 작용하였다.

의의 및 평가

경상남도 양산시 광천사 도서인 『묘법연화경』은 1443년(세종 25) 전라도 화암사(花岩寺)에서 간행된 것으로, 조선시대 명필가인 성달생(成達生, 1377~1444)주2이 포함되어 있다.

발문과 더불어 간행 시기와 간행처가 분명하여 조선 전기 불서 판본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5월 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정왕근, 「조선시대 묘법연화경의 판본 연구」(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인터넷 자료

국가기록유산(https://www.memorykorea.go.kr/)
문화재청(https://www.cha.go.kr/)
주석
주1

괴로움이 많은 인간 세계. 석가모니불이 교화하는 세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