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불교
문헌
문화재
고려후기 조근과 이희여가 『법화경』을 소자로 판각하여 1286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정의
고려후기 조근과 이희여가 『법화경』을 소자로 판각하여 1286년에 간행한 불교경전.
개설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 7권 2책의 소형본이다. 소형본은 이용에 편의를 꾀하고자 만든 것이나 이 책이 얇은 종이에 인출된 것으로 볼 때 열람이나 이용보다는 복장을 염두에 두고 인출한 것으로 보인다.

편찬/발간 경위

송본의 번각본이다. 권말에 있는 성민(成敏)의 발문에 따르면, 1286년(충렬왕 12)에 그의 “제자인 조근(早勤)이 전 호장인 이희여(李希呂)와 함께 이 경전을 간행하여 널리 유통되기를 발원하고 직접 새겨 간행하였다.”고 하며, 동원자는 윤우(尹珝) 등이었다.

서지적 사항

권1∼4가 제1책, 권5∼7이 제2책으로 후대에 장책되었는데 표지에는 일체의 글씨나 장식이 없다. 열람 또는 이용의 흔적이 없으며, 보존상태는 좋은 편이다. 권1, 2, 6의 권미제 아래 또는 다음 행과 권3의 권수제 아래에는 ‘만(卍)’자를 새겨 놓았다.

제2책의 가운데 판심부분의 중상단 부분이 약간 훼손되어 권5의 대부분이 첫째 행 또는 마지막 행의 한 두자가 결락되었다. 또 권7의 제1장 마지막 1행은 인쇄되지 않았고, 제2장은 결판된 탓인지 인출하지 못하여 백지로 채워놓았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이 책은 초인의 흔적을 보이기는 하지만 판각 직후에 인출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판각 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 인출되어 즉시 복장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용

이 경은 요진(姚秦) 시대인 406년경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하고, 송나라 계환(戒環)이 해석한 것이다. 부처의 40년 설법을 집약하는 정수를 담고 있는 경전이다. 『화엄경』, 『금강경』과 함께 대표적인 대승불교 경전으로 『법화경』이라고 한다. 내용은 가야성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개판의 동기나 간행시기를 알 수 있는 고려후기의 소형본 『묘법연화경』으로 인출된 후 이용되지 않은 듯 보존상태도 대체로 좋다. 그러나 인출 당시 결판이 있었던 점 등으로 보아 판각 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 인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팔만대장경해제』(사회과학출판사, 1992)
고려대장경지식베이스(kb.sutra.re.kr/ritk/index.do)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오용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