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도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중국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광복군에서 홛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한성도(韓成道), 한석관(韓錫官), 한성도(韓聖道)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9년
사망 연도
1950년
출생지
평안북도 의주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토교대 대장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2005)
내용 요약

한성도는 평안북도 의주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인 1934년 중국 낙양군관학교의 한인특별반에서 군사훈련을 받았으며,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설되고, 토교대가 성립되었을 때 총사령부 경호를 담당하는 보충부대장 및 토교대 대장으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중국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광복군에서 홛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한성도(韓聖島)는 1909년 평안북도 의주에서 출생하였다.

주요 활동

1934년부터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中央陸軍軍官學校) 낙양분교(洛陽分校)의 한인특별반(韓人特別班)에서 훈련을 받았다. 김구(金九)는 특무공작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지만, 주1〔蔣介石〕는 무관 양성을 제의하면서 한중 공동 항일 군사훈련의 시작을 알렸다. 낙양분교는 중국 주2에서 재정적 지원과 장소를 제공한 것이었고, 학교 운영과 학생 모집 등은 김구가 주도하는 등 독자적으로 운영하였다.

낙양군관학교의 운영과 교육훈련은 비밀리에 이루어졌다. 학생들에게는 휴가나 외출이 통제된 채 교육훈련이 실시되었다. 지청천(池靑天, 일명 이청천)이 교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이범석이 특별훈련반 학생대장이었다. 한성도는 노태준 · 안춘생 등과 함께 훈련받았다. 한성도는 한인특별반을 마치고 임시정부 대열에 합류하여 1936년경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상임위원을 지냈다.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총사령부 참모부 제3과원으로 이진영(李進榮) · 조성철(趙誠轍) 등과 활동하였다.

임시정부가 충칭〔重慶〕으로 이전한 후 충칭에도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병과 한국광복군훈련반(한광반) 출신들과 중국군에 포로가 된 한적(韓籍) 병사 등 한인 청년들이 모여들었다. 그들은 충칭의 투차오〔土橋, 토교〕에 설치한 토교대(土橋隊) 배속되었다. 토교대는 상설 조직체가 아니라 한인 청년들의 집결에 따라 그때그때 임시로 편성되었다.

토교대는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관할하고 있었다. 토교대의 임무는 광복군 총사령부 경비 및 고위 요원의 호위, 광복군 기간 간부 및 건국 후의 국군 사관 요원의 양성, 일본군 가운데 한적 사병에 대한 탈출 공작, 총사령부 지시에 의한 공작 수행 등이었다.

토교대는 세 차례에 걸쳐 조직되었으며, 1945년 3월 일본군에 근무하다가 중국군 포로가 된 한적 포로들로 구성되었다. 한성도는 이때 토교대 대장을 맡았으며, 백정갑(白正甲)은 부대장을 맡아 대원을 훈련시켰다. 토교대는 일종의 보충대 성격이었다.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의 경호를 위한 보충부대장, 경호대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4권, 제6권(고려서림, 198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5(탐구당, 1968)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권(독립문화사, 1966)
주석
주1

중국의 군인ㆍ정치가ㆍ중화민국의 총통(1887~1975). 이름은 중정(中正). 쑨원(孫文)에게 배웠으며, 국민당 혁명군 총사령관이 되어 북벌(北伐)에 성공하고 난징(南京) 정부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항일전에 힘썼으며, 헌정(憲政)하의 초대 총통에 취임하였으나 중공과의 전투에 패하여 정부를 타이완으로 옮겼다.    우리말샘

주2

중국 국민당이 1925년 광저우(廣州)에 수립한 중화민국 정부. 쑨원(孫文)이 죽은 후 후한민(胡漢民)이 광둥 정부(廣東政府)를 개혁하여 고친 이름으로, 후에 장제스(蔣介石)의 지도 아래 민주 공화국으로 발족하였으나, 중국 공산당에 패하여 1949년 대만으로 물러났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주용(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