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춘생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1940년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왕형(王衡), 안용춘(安容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2년 8월 12일
사망 연도
2011년 1월 26일
출생지
황해도 해주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특무대 제2대장|한국국민당청년당 특무부장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3)
내용 요약

안춘생은 일제강점기에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1935년 1월 한국광복군 특무대 제2대장, 1936년 7월 11일 한국국민당청년당의 특무부장 등을 지낸 독립운동가이다. 1936년 중국중앙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 제2사단에 배속되어 대일전에 참전하였다. 1941년 한국광복군 제1지대 간부, 1942년 제2지대 제1구대장을 맡았다. 1945년 국내 정진군의 제1지구(평안도·황해도·경기도) 대장이 되었고, 광복군 잠편지대 난징 지대장으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1940년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안춘생(安椿生)은 1912년 8월 12일 황해도 해주군(海州郡) 금산면(錦山) 냉정리(冷井里)에서 태어났다. 안중근(安重根) 의사의 조카로, 1918년 가족과 함께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만주 주1〔黑龍江省〕 해륜중학(海倫中學)을 졸업하였다.

주요 활동

1933년 ‘중국중앙군관학교 주2〔洛陽〕분교 제2총대 제4대 육군군관훈련반 제17대’인 일명 한인특별반에 90여 명과 함께 입교하였다. 1935년 1월 중순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학생으로서 주3〔南京〕 성내 고안리(高安里)에서 거행된 특무대 발대식에서 제2대장으로 임명되었다. 특무대는 1935년 2월 난징 성내 동관리 23호에 한인학생훈련소, 일명 특무대예비훈련소〔蒙藏訓練所〕를 설치하여 학생들에게 중국군관학교 입학에 필요한 예비교육을 하였다.

1936년 3월 특무대예비훈련소에 기록된 학생 안춘생의 인상은 “키 5척 5치, 신체 강건, 얼굴 둥근 형태, 코 크고 눈썹 짙고 치켜 오르다, 두 발 왼편으로 나눔”으로 되어 있다. 1936년 7월 11일 한국특무대독립군과 학생훈련소에 있던 청년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한국국민당청년당의 특무부장을 맡았다. 1936년 여름 중국중앙군관학교 제10기 보병과를 졸업하고, 중국군 제2사단에 배속되어 대일전에 참전하였다. 1939년 10월에 중국군 육군 소령으로 군정부(軍政府) 감호대대(監護大隊)에서 복무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군대 창설의 첫 단계로 1939년 8월 군사특파단을 조직하여 주4〔華北〕 진출의 예비공작’으로서 주5〔西安〕에 파견하였다. 1939년 10월 하순경 시안에 도착한 군사특파단의 주6 활동은 안춘생 등 중국군에 복무 중이던 사람들이 참여하면서 확장되었다.

1940년 6월 안춘생 등은 주7〔山西〕 지역에 파견되어 주8 부대의 협조로 활동하였다. 군사특파단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성립된 후 1940년 12월 29일 공식 임무를 끝마치고 명의가 취소되었으며,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및 제1지대에 배치되어 군 생활을 이어갔다.

1941년 초 안춘생은 제1지대의 간부가 되었는데, 지대장을 포함하여 9명으로 구성된 제1지대는 모두 군사특파단 출신이었다. 1942년 4월 1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는 제5지대장 나월환(羅月煥) 암살사건 수습과 조선의용대 편입을 계기로 제1, 2, 5지대를 통합하여 제2지대로 개편하였는데, 이때 안춘생은 제1구대장을 맡았다.

1945년 5월부터 한국광복군 제2지대와 미국 전략첩보국(OSS: Office of Strategic Services)이 함께 추진한 독수리작전(Eagle Project)의 계획이 변경되고, 8월 11일 지청천(池靑天, 이청천)을 지휘관으로 하는 국내 정진군(挺進軍)이 제1지구(평안도 · 황해도 · 경기도), 제2지구(충청도 · 전라도), 제3지구(함경도 · 강원도 · 경상도) 등 3개 지구로 편성되면서 제1지구대장이 되었으나, 일제의 패망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일제의 패망 당시 중국 본토 주둔 일본군은 약 128만 명이었고, 그중 한인 사병은 2만 8천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임시정부는 중국의 주요 도시에서 일본군 내 한인 장병을 접수하여 광복군 주9(暫編支隊)를 설치하였다. 안춘생은 난징 지대의 지대장으로 부지대장 지달수(池達洙), 참모 문응국(文應國) · 진춘호(陳春湖) · 김유철(金裕哲) · 신영묵(申榮黙) · 허영일(許永一) · 서파(徐波) 등과 함께 조국 광복에 이바지하였다.

상훈 및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5: 한국국민당I』(국사편찬위원회, 2009)
김광재, 『한국광복군』(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9: 군무부』(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0: 한국광복군 I』(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1: 한국광복군 II』(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2: 한국광복군 III』(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4: 한국광복군 V』(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6: 임시의정원 V』(국사편찬위원회, 2005)
『독립유공자 증언자료집 2』(국가보훈처, 2002)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 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독립운동증언 자료집』(박영사, 198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6: 독립군전투사 하』(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4: 임시정부사』(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3)
주석
주1

흑룡강을 사이로 러시아와 접하여 있는 중국 동북부의 성. 금ㆍ석탄 따위의 광물과 콩ㆍ조 따위의 농산물이 난다. 성도(省都)는 하얼빈, 면적은 46만 3600㎢.    우리말샘

주2

중국 허난성(河南省) 서북부에 있는 성 직할시. 화베이평야(華北平野)와 웨이수이강(渭水江) 분지를 잇는 요지로, 룽하이 철도(隴海鐵道)가 지난다. 광산 기계ㆍ트랙터ㆍ방적 따위의 공업이 활발하며, 부근에서 목화가 많이 나고 석탄ㆍ금속 자원도 풍부하다. 예로부터 여러 왕조의 도읍지로 번창하여 명승고적이 많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장쑤성(江蘇省) 서남쪽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하류 연안에 있는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대 왕조의 도읍지로 명승고적이 많다. 1928년에 국민당(國民黨) 정부의 수도가 된 후에 중국의 정치, 군사, 문화,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계, 화학, 철강 공업이 발달하였다. 장쑤성의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주4

중국의 북부 지방. 베이징과 허베이성(河北省), 산시성(山西省), 톈진(天津),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 등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말샘

주5

중국 산시성(陝西省)에 있는 도시. 황허강(黃河江)의 지류 유역인 웨이수이강(渭水江) 분지의 중심 도시이며, 방적ㆍ제분 공장과 발전소가 있다. 예로부터 한민족 활동의 중심지로 부근에 주(周)나라, 진(秦)나라, 한(漢)나라, 수나라, 당나라의 도읍이 있었다.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주6

사람을 불러 모음.    우리말샘

주7

중국 허난성의 야오산산(崤山山) 이서에 있는 땅.    우리말샘

주8

중국의 군벌 정치가(1883~1960). 신해혁명에 참가하여 산시성(山西省)에서 권력을 잡고 산시 먼로주의를 표방하였으며, 1948년 이후 국민 정부에 가담하여 행정원장(行政院長)을 지냈다. ⇒규범 표기는 ‘옌시산’이다.    우리말샘

주9

잠정적으로 편성된 지대라는 의미이다.

집필자
윤선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