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철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1930년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입하여 무정부주의 독립운동을 시작하여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거쳐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여 한미연합작전 등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왕세신(王世新), 진국동(陳國棟), 김유철(金有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1년 3월 21일
사망 연도
2002년 10월 11일
출생지
황해도 안악
대표 상훈
건국포장(1977)|건국훈장 애국장(199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유철은 일제강점기 1911년 황해도에서 태어나 1920년경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1930년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입한 후, 1933년 중국 중앙군관학교 낙양분교를 졸업하여 중국군 장교로 임관하였다. 1939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입대하였다가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입대하여 쿤밍 등지에서 한미연합작전 등을 수행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1930년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입하여 무정부주의 독립운동을 시작하여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거쳐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여 한미연합작전 등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유철(金裕哲)은 1911년 3월 21일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龍順面)에서 태어났다. 부친 김기형(金基瀅)은 1919년 황해도 안악군에서 3 · 1 만세 시위를 주도한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는데, 1924년 부친을 따라 가족 모두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였다. 상하이교민단에서 설립한 3 · 1학교에서 수학한 김유철은 20세가 되던 해부터 독립운동의 길에 뛰어들었다.

주요 활동

1930년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에 가입하여 의열 운동에 참여하다가, 1930년대 중반 중국 중앙군관학교(中央軍官學校) 뤄양분교〔洛陽分校〕 한인특별반(정식명칭 제2총대 제4대대 육군군관훈련반 제17대)에 입교하였다. 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군 장교로 임관하여 쑤저우〔蘇州〕 전선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1939년부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는 한편, 김인(金仁) · 이재현(李在賢) · 김원영(金元英) 등과 함께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조직에 참여하였다. 전지공작대는 무정부주의 계열 청년들이 주도한 무장단체였으나, 김유철은 한국국민당을 지지하면서 김구(金九)를 경호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창설되자 참모로 활동하였다. 충칭〔重慶〕에 있던 김유철은 영국대사관 정보처와 공조하였다. 1943년 3월 안원생(安原生) 등과 미국 공군 정보장교 윔스(Clarence N. Weems)를 만나 미국의 특수 공작 기관인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 전략첩보국)와 제휴하여 한 · 미 간의 정보 활동을 담당하였다. 이 시기 미군, 영국군과 공조 활동을 하던 김유철은 1944년 6월부터 11월 말까지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장으로 활동하였다.

1944년 태평양전쟁이 치열해지며 한 · 미 간의 군사 공조가 본격화하던 시기 최전방에서 군사 활동을 전개하였다. 쿤밍〔昆明〕에 있는 미 제5군사령부에 특파원으로 파견되어 일본군에 대한 정보 수집과 심리작전을 수행하였다. 일본군에 승전을 거두는 그림을 그려 전단을 만들고, 한국어 · 일본어 · 베트남어 · 미얀마어 등 4개 국어로 작성된 선전물을 만들어 적 진영에 살포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는 적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일제의 징용에 끌려간 한국인 병사들에게 투항을 권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김유철은 8 · 15광복 때까지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다가 1946년 귀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상도, 『한국독립운동과 중국군관학교』(문학과지성사, 1999)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일조각, 1995)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6: 독립군전투사』 하(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대한민국임시정부의정원문서』(한국학중앙연구원, 197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4(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3)
집필자
황선익(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