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영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중국 공군기지 중미혼합단 소속 장교(비행사)로, 웨양 · 헝양 등지에서 일본군 운수부대를 소탕하는 등 큰 전과를 올렸던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구양명(歐陽明), 장양명(張陽明)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
사망 연도
1945년 3월 24일
출생지
황해도 장연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2001)
내용 요약

김원영은 중국 난징의 중앙군관학교를 졸업한 뒤 1935년 김구가 중국 국민정부와 교섭하여 설립한 학생훈련소에 참여하였고, 같은 해 사회주의 비밀결사 혁명동지회(10월회)에 가입하였다. 1945년 중국 국민정부의 즈장〔芷江〕 공군기지 중미혼합단(中美混合團) 공군 준위 견습관으로 배속되었다. 1945년 2월 전투기를 몰고 출격하여 웨양·헝양 등지에서 일본군 운수부대를 공격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키워드
정의
일제강점기 중국 공군기지 중미혼합단 소속 장교(비행사)로, 웨양 · 헝양 등지에서 일본군 운수부대를 소탕하는 등 큰 전과를 올렸던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원영(金元英)은 1919년 황해도 장연에서 태어났다. 김구(金九)와 함께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김보연(金甫淵)의 아들이다. 1928년 김보연이 사망하여 안중근의 조카 안원생(安原生)과 결혼한 누나 김영애(金永愛)의 거처인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거주하였다.

주요 활동

1935년 2월 김구가 중국 주1와 교섭하여 한국특7무대 독립군과 별도로 주2〔南京〕의 동관두(東關頭) 23호에 학생훈련소를 설치하자 여기에 참여하였다. 약 30여 명의 한인 청년과 함께 훈련소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 학생훈련소는 난징의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입교하기 전에 지망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군사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치한 것이었다. 이후 중앙군관학교를 19기로 졸업한 뒤 1935년 8월 하순 김학무(金學武) · 이성황(李成煌) · 정성언(鄭成彦)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 비밀결사 혁명동지회(시월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2년 상하이를 떠난 뒤 중국 국민정부를 따라 중국 남부의 여러 도시를 유랑하였다. 임시정부는 1938년 11월 말 주3〔廣西省〕 주4〔柳州〕에 도착하였다. 이듬해 2월 류저우에서 임시정부 산하 무장조직인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가 창설되었는데, 이때 김원영은 대원으로 참가하여 무장 독립전쟁에 동참하였다. 또 이 조직이 1939년 11월 중국 국민정부의 임시수도였던 주5〔重慶〕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로 발전하였는데, 김원영은 이때도 대원으로 참여하여 임시정부의 군대 창설과 무력 투쟁에 참가하였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바탕으로 1940년 9월 임시정부의 정규군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었다.

김원영은 중국 정부의 항공위원회 군관 학생이 되었다가, 다시 공군군관학교 15기 군관 학생으로 발탁되어 서남부 주6〔雲南省〕 주7〔昆明〕에서 항공 군사훈련을 받았다. 1944년 2월 인도에서 미군의 지원으로 군사훈련을 받은 뒤 1945년 1월 상하이로 돌아왔다. 그 뒤 중국군 즈장공군기지〔芷江空軍基地〕의 중미혼합단(中美混合團) 공군 준위 견습관으로 배속되었다.

1945년 2월 7일 전투기를 몰고 출격하여 주8〔湖南省〕의 주9〔岳陽〕 · 주10〔衡陽〕 등지에서 일본군 운수부대를 공격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같은 해 3월 24일 일본군 공격을 위해 출격하였으나, 불행하게도 전투기가 추락하여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편, 1974)

단행본

『독립유공자 공훈록』 15(국가보훈처, 2003)
한시준,『한국광복군연구』(일조각, 1993)
『독립운동사』 4(국가보훈처, 1986)
『독립운동사』 6(국가보훈처, 1986)
社會問題資料硏究會 編, 『思想情勢視察報告集其の二』(京都: 東洋文化社, 1977)

신문

『독립신문』(1945. 7. 20.)
주석
주1

중국 국민당이 1925년 광저우(廣州)에 수립한 중화민국 정부. 쑨원(孫文)이 죽은 후 후한민(胡漢民)이 광둥 정부(廣東政府)를 개혁하여 고친 이름으로, 후에 장제스(蔣介石)의 지도 아래 민주 공화국으로 발족하였으나, 중국 공산당에 패하여 1949년 대만으로 물러났다.    우리말샘

주2

중국 장쑤성(江蘇省) 서남쪽에 있는 도시. 양쯔강(揚子江) 하류 연안에 있는 수륙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대 왕조의 도읍지로 명승고적이 많다. 1928년에 국민당(國民黨) 정부의 수도가 된 후에 중국의 정치, 군사, 문화,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계, 화학, 철강 공업이 발달하였다. 장쑤성의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 서남부에 있는 성. 뒤에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가 되었다. 목재와 임업 생산물의 주요 산지이다. 철도와 고속 도로가 이 지역에서 교차하며 지역 전반에 걸쳐 수상 운송 체제가 정교하게 발달되어 있다. 면적은 32만 7408㎢.    우리말샘

주4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중앙부에 있는 상공업 도시. 수륙 교통의 중심지이며, 목재의 집산지이다. 제재, 제지, 황산, 주정(酒精)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5

중국 남서부에 있는 중앙 직할시. 양쯔강(揚子江)과 자링강(嘉陵江)의 합류점에 위치한다. 제이 차 세계 대전 때에 국민 정부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6

중국 남부, 윈구이고원(雲貴高原)의 서남부에 있는 성(省).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과 국경을 이루는 교통 요충지이다. 양잠을 하고, 쌀ㆍ콩ㆍ차 따위를 재배하며, 주석ㆍ대리석 따위가 풍부하다. 성도(省都)는 쿤밍(昆明), 면적은 39만 4000㎢.    우리말샘

주7

중국 윈난성(雲南省) 중부, 뎬츠(滇池) 북쪽 기슭에 있는 도시. 베트남, 라오스와의 교통 요충지이며, 성도(省都)이다.    우리말샘

주8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남쪽에 접하여 있는 성. 둥팅호(洞庭湖) 남쪽에 있으며 샹장강(湘江江)이 지난다. 쌀ㆍ보리와 세계적인 안티모니ㆍ납 따위가 나며, 기계ㆍ제련ㆍ화학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성도(省都)는 창사(長沙), 면적은 21만 1800㎢.    우리말샘

주9

중국 후난성(湖南省) 북쪽에 있는 항구 도시. 둥팅호(洞庭湖) 동북쪽 끝에 접하여 있으며, 양쯔강(揚子江)으로 연결된다. 웅대한 경관으로 유명하며, 두보의 시로도 널리 알려진 곳이다.    우리말샘

주10

중국 후난성(湖南省) 남부에 있는 도시. 수륙 교통 요충지로 상업 거래가 활발하며, 화학ㆍ방직ㆍ기계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장세윤(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