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화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에서 1940년대 전반기 한국독립당 및 한국혁명여성동맹 등에서의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최소정(崔素貞)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1년 6월 20일
사망 연도
2003년 4월 19일
출생지
경기도 개성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선화는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에서 1940년대 전반기 한국독립당 및 한국혁명여성동맹 등에서의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1936년 중국에 망명하여 흥사단에 가입하고, 1940년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1943년 5월 충칭에서 한국애국부인회 서무부장을 맡아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에서 1940년대 전반기 한국독립당 및 한국혁명여성동맹 등에서의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최선화(崔善嬅)는 1911년 6월 20일 경기도 개성에서 태어나 1931년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하였다.

주요 활동

1936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간호대학을 중퇴하고 안창호흥사단(興士團)에 가입하여 1937년 5월에는 광저우〔廣州〕에서 흥사단 창립기념식에 참석하였다. 이 무렵 대한민국임시정부 재무차장이던 독립운동가 양우조(楊宇朝)를 만나 그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으며, 후에 그와 혼인하였다.

1940년 3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광시성〔廣西省〕 류저우〔柳州〕에서 쓰촨성〔四川省〕 기강(綦江)으로 이전한 뒤에 재중 한인 교포 부인들과 한국혁명여성동맹을 결성하는 주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5월 충칭〔重慶〕에서 김구한국국민당 등을 통합한 한국독립당이 창립되자 가입하여 임시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1943년 2월 임시정부가 있는 중국 국민정부의 임시수도 충칭으로 옮겨 가서, 1919년 3 · 1운동 직후 조직된 애국부인회의 재건 운동에 동참하였다. 이후 여성의 각성과 조국의 자주독립을 지향하는 한국애국부인회의 재건선언문을 발표하였다. 이때 서무부장에 선출되었는데, 회장에는 김순애(金淳愛, 김규식의 부인)가 추대되었다.

재건 한국애국부인회의 중심인물은 대부분 임시정부의 일원, 한국독립당의 당원으로 임시정부와 연계된 여성들이었다. 따라서 이 조직의 목표 역시 임시정부를 구심점으로 하여 중국 관내 지역 여성단체를 통합하려는 데 있었다.

최선화 · 연미당(延薇堂) · 정정화(鄭靖和) 등은 임시정부를 도와 각 방면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방송을 통해 국내외 여성들에게 각성과 분발을 촉구하였으며, 위문품을 거둬 항일전선에서 투쟁하는 한국광복군에 전하는 한편, 여성 · 청소년들의 계몽과 교육 운동에도 헌신하였다.

최선화 등 한국애국부인회 간부들은 “한국은 완전 독립하여야 한다. 외국의 어떠한 간섭에도 반대한다.”라는 내용의 강연과 토론회를 갖고 한국 민족의 독립, 민족국가의 건설 등을 골자로 하는 4개 항의 재중국한인대회 선언을 국내외에 발표하여 거족적 결의를 표시하였다. 또 대회 주석단 이름으로 각지 동포에게 보내는 공개 서신을 통해 부당한 언론 탄압에 대한 반대 투쟁을 전개할 것을 호소하였다

공개 서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친애하는 동지 동포 여러분! 우리는 실로 각 동맹국의 원조를 필요로 한다. 이 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우리 민족의 공고한 단결과 자력갱생이다. 이러한 역량을 가져야만 완전 독립과 철저한 해방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일어서라! 우리 임시정부의 깃발 아래로 어느 한 사람이나 한 단체라도 모두 모이라! 그리하여 승리적인 전도를 향하여 용감히 전진하자!”

이처럼 각 지방 동지와 동포들에게 보내는 공개장을 발표하고, 임시정부 깃발 아래 일치단결하여 우리 민족의 완전 독립과 철저한 해방을 획득하자고 주장하였다. 또한, 중국 등 동맹 각국에 우리 민족이 대일 작전의 주요 역량임과 우리 임시정부의 국제적 합법 지위를 인정해 줄 것을 주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양우조·최선화, 『제시의 일기』(김현주 옮김, 혜윰, 1999)
『독립유공자 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13(국사편찬위원회, 1978)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3(국사편찬위원회, 1973)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논문

김성은, 「최선화의 중국망명생활과 독립운동 『제시의 일기』를 중심으로」(『숭실사학』 31, 숭실사학회, 2013)
강영심, 「김순애(1889~1976)의 생애와 독립운동」(『한국근현대사연구』 63, 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이재호, 「少碧 楊宇朝의 생애와 독립운동」(『사학지』 36, 단국사학회, 2003)

신문

『신한민보』(1943. 6. 3.)
집필자
장세윤(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