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각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강원도 의원과 의열단 단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박용규(朴容珪)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 11월 4일
사망 연도
1957년 6월 6일
출생지
강원도 철원
주요 경력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강원도 의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8)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용각은 일제강점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인 강원도 철원에서 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한 뒤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임시의정원의 강원도 의원으로 활약하였으며, 1925년에는 의열단에 가입하여 1930년대까지 중국 난징 등지에서 대일 항쟁을 전개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강원도 의원과 의열단 단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박용각(朴容珏)은 1898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났다. 철원 출신의 저명한 독립운동가인 박용만(朴容萬, 1881~1928)의 4촌 아우이다. 서울청년학원을 중퇴하였다.

주요 활동

박용각은 1919년 3월 10일 철원읍 3 · 1운동에 참여한 뒤 경찰의 추격을 피해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 참여하였다. 강원도 의원으로 선출되어 활약하였으며, 1921년에는 이승만(李承晩)의 대미(對美) 위임통치 청원에 반대하는 성토문을 발표하였다.

박용만의 영향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노선을 달리하였다. 1925년 상하이에서 조직된 청년동맹회(靑年同盟會)의 후보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는 한편, 1925년에는 김원봉(金元鳳)이 이끄는 무장투쟁 조직 의열단에 가입하여 의열 투쟁을 전개하였다. 이듬해 의열단의 방침에 따라 중국군관학교에 입교하여 한인 간부훈련단에서 훈련을 마치고 조직적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1927년 중국의 국공합작(國共合作)이 결렬된 이후 중국 국민당의 좌익 탄압이 심해지자 의열단은 근거지를 베이징〔北京〕으로 옮기고 레닌주의정치학교를 설립하는 등 정치교육 운동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1931년 9월 일본이 중국 둥베이〔東北〕 지역(만주)을 침략한 뒤 베이징이 위험해지자 의열단은 다시 난징〔南京〕으로 중심 활동지를 옮겼다. 이후 김원봉은 중국 국민당 군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세우고, 1935년까지 의열단 계통의 청년 항일 투사를 양성하며 중국 관내 지역 무장 독립운동의 기초를 닦았다.

이러한 의열단의 추세에 부응하여 박용각은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면서 조선의용대에도 관여하였고, 1940년 김원봉과 함께 충칭〔重慶〕으로 가서 임시정부에 합류하였다. 1945년 말 귀국할 때까지 중국 관내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지속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8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편, 1974)

단행본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사 연구』(지식산업사, 2004)
『독립유공자 공훈록』 14(국가보훈처, 2000)
『要視察人名簿』(국가보훈처 편, 1996)
『독립유공자 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 4(국가보훈처, 1986)
『한국민족운동사료』 중국 편(국회도서관 편, 197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9(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국사편찬위원회, 1971)
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2(東京: 原書房, 1967)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國外ニ於ケル容疑朝鮮人名簿』(京城: 조선총독부 경무국, 1934)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집필자
장세윤(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