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철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4년 1월 22일
사망 연도
1976년 3월 26일
출생지
강원도 철원
주요 경력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강원도 의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용철은 일제강점기 1919년 3월 강원도 철원농업학교 재학 중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세 시위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922년 4월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상해청년동맹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34년에는 항저우에서 재건된 한국독립당 조직에 참여하여 기관지 『진광』의 발행에 관여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박용철(朴容喆)은 1904년 강원도 철원읍 중리에서 태어나 철원농업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3월 10일 철원농업학교 재학 중 철원 읍내에서 3 · 1운동이 일어나자 경고문과 호소문 등을 배포하고 군청 앞 등지에서 학생들을 이끌고 시위를 주도하였다. 철원읍 3 · 1운동은 철원농업학교와 철원보통학교 학생, 기독교인과 지역 청년 등 두 흐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학생 시위는 철원농업학교의 박용철과 이해종(李海鍾), 철원보통학교의 임응렴(林應簾) · 이규정(李圭貞) 등이 주도하였다. 3월 10일 철원 읍내 북간산(北看山)에 모인 200여 명의 학생은 옥양목으로 미리 만들어 둔 태극기를 들고 철원군청 앞에서 시위대와 합류하였다. 이때 박용철 등 학생들은 1,000여 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는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다가 경찰에 검거되었다. 그러나 나이가 어려서 1919년 9월 말 경성지방법원에서 풀려났다.

1922년 4월 어린 나이에도 독립운동에 뜻을 품고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상해청년동맹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4년 11월에는 청년동맹회 후보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7년 3월 말 상하이 삼일당(三一堂)에서 한인청년회가 창립되자 감사위원에 선출되어 청년운동에 투신하는 한편,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원하였다.

1931년 12월 24일 상하이에서 열린 제23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염온동(廉溫東) · 염석락(廉錫輅)과 함께 강원도 대표 의원으로 뽑혀 임시정부의 의정 활동에 참여하였다. 1934년에는 임시정부가 옮겨간 항저우〔杭州〕에서 재건된 한국독립당 조직에 참여하였는데, 사실상 한국독립당은 임시정부의 여당(與黨)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후 이 독립운동 정당의 기관지 『 진광(震光)』의 발행에도 참여하여 독립운동을 지속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며,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편, 1974)

단행본

철원역사문화연구소, 『철원군 지방행정 60년사』(철원군, 2013)
철원군지증보편찬위원회,『철원군지』 상·하(철원군, 1992)
『독립유공자 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한국민족운동사료』 중국 편(국회도서관 편, 1976)
『독립운동사』 9(국가보훈처, 1977)
『독립운동사』 4(국가보훈처, 1974)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4)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8(국사편찬위원회, 197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1)
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2(東京: 原書房, 1967)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國外ニ於ケル容疑朝鮮人名簿』(京城: 조선총독부 경무국, 1934)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디지털철원문화대전(http://cheorwon.grandculture.net/cheorwon)
집필자
장세윤(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