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삼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제3징모처 위원으로 선임되어 초모 활동 및 대적 선전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한도명(韓道明), 전선학(錢鮮鶴)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0년
사망 연도
1942년
출생지
평안북도 선천
주요 경력
한국광복군 제3징모처 위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1)
내용 요약

김응삼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서, 일찍이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 중앙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받고 한국광복군 징모처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중국 장시성 진화〔金華〕에서 초모 활동을 전개하면서 대적 선전 활동, 포로 심문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제3징모처 위원으로 선임되어 초모 활동 및 대적 선전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김응삼(金應三)은 1910년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났으며, 일찍이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주요 활동

광복군 제3징모처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장시성〔江西省〕 상라오〔上饒〕 등지에서 주1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5년 2월 김구(金九)가 중국 난징〔南京〕 동관두(東關頭)에 혁명공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군사교육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중국 측과 교섭하여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입학시키기 전에 예비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30명의 한인 청년을 모집하여 교양 훈련을 시킬 때 참여하였다. 이때 김춘생(金春生)‧마여룡(馬如龍)‧마일삼(馬一森)‧ 안춘생(安椿生)이재현(李在賢) 등과 함께 교육 훈련을 받았다.

1940년 9월 17일 대한민국임시정부한국광복군을 창설하였을 때 제3징모처 위원 겸 훈련 조장에 임명되어 장시성 진화〔金華〕에서 대적 선전 방송, 정보 수집 및 일본군 포로 심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이때 한국광복군에서 마련한 ‘광복군 임무’(① 우리들의 분산한 역량을 독립군에 집중하여, 전반적 조국 광복 전쟁을 전개한다. ② 중국의 항전에 참가 및 중국 항일군과 연합하여 일본군을 박멸한다. ③ 국내 민중의 무장 반일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도한다. ④ 정치 · 경제 · 교육 등에서 균등한 신민주국가를 건설할 만한 무력적 기간을 마련한다. ⑤ 평화와 정의를 지지하는 세계 각 민족 및 인류를 저애하는 사물을 일체 소탕한다.)를 충실하게 전개하는 활동을 하였다.

또한, ‘적구내(敵區內) 동지 동포들에게 고함’이라는 글을 적어 동포들에게 광복군 선전 활동의 취지를 알렸다. ‘적구내 고함’은 “우리는 신성한 단군부터 위대한 자손으로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고급 문화를 향유한 민족의 하나이며, 이민족에게 빼앗긴 국권을 되찾기 위해 혁명의 대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민족의 승리를 위해 한국광복군으로 모이라.”라는 취지의 글이었다.

1942년 6월, 주2가 세운 일본 제국주의 괴뢰국인 화평반공건국(和平反共建國) 군대가 반정 공작을 전개할 당시 저장성〔浙江省〕 전투에서 치열한 공방전 끝에 큰 부상을 입고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4(고려서림, 198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5(탐구당, 1968)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독립문화사, 1966)
주석
주1

사람을 불러 모음.    우리말샘

주2

중국의 정치가. 신해혁명과 국민혁명 중일전쟁에 걸쳐 정치가로 활동을 했으며 친일 정부를 조직하여 주석으로 취임하였다. 이 때문에 중화민족을 배반한 친일파로 오명을 남겼다.    바로가기

집필자
김주용(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