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건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우삼(禹三)
이명
현읍민(玄揖民)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3년 6월 29일
사망 연도
1932년 12월 30일
본관
천녕(川寧)
출생지
대구광역시
주요 경력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경상도 의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92)
내용 요약

현정건은 일제강점기에 중국의 만주와 상하이 지역에서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고려공산당, 인성학교, 국민대표회의, 상하이교민단, 상하이한인청년동맹, 한국유일당상해촉성회 등의 독립 단체와 사회단체 및 교육 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현정건(玄鼎健)은 1893년 6월 29일 대구광역시 상서동에서 태어났다. 자(字)는 우삼(禹三)이다. 배재학당을 다녔으며, 소설가 현진건(玄鎭健)의 셋째 형이다.

주요 활동

1910년 주1 후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고종 황제 측근인 주2 현상건(玄尙健) 집에 기거하면서 영어전수학교를 다녔다. 그 뒤 상하이 주재 미국인 회사에 재직하면서 한인들의 미국행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주3 및 여권 당국과 교섭하는 일을 맡았다. 1919년 9월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경상도 의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20년경 한인공산당(韓人共産黨)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1년 초 이동휘(李東輝) 등의 정부 쇄신안이 거부되자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신당을 창립할 때 동참하였다. 이후 상하이파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이 조직되자 기관지 『화요보(火曜報)』 주필을 맡아 공산주의 사상의 선전과 보급에 힘썼다.

1922년 2월 상하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간의 대립을 해소하고 통합을 촉구하는 비밀회의가 상하이에서 열렸을 때 참석하였다. 1923년 1월 상하이에서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가 열렸을 때 왕삼덕(王三德)과 함께 고려공산당 대표로 참여하였다. 국민대표회의에서 개조파(改造派)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외교분과위원에 선임되었다. 이때 창조파조선공화국 건국을 결정하고 임시 헌법과 국호 등을 제정하고 국무위원제를 실시하려 하자 이를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923년 8월 상해교민단(上海僑民團)이 평안도 지방의 대홍수로 발생한 이재민을 구호하고자 내지동포수재구제회를 조직하여 수재의연금을 전달할 때 기여하였다. 1925년 9월 상해교민단 의사원에 선출되었다.

1924년 6월 김규식(金奎植) · 여운형(呂運亨) · 김두봉(金枓奉) · 최창식(崔昌植) 등과 함께 중국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인성학교(仁成學校) 내에 예비강습소를 개설하였다. 이때 김규식 · 여운형과 함께 영어 과목을 맡아 가르쳤다. 그 후 예비강습소가 상해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되자 여운형 · 김종상(金鍾商)과 함께 전임교사로 활동하였다.

1924년 11월 상하이에서 윤자영(尹滋瑛)이 조직한 청년동맹회(靑年同盟會)의 집행위원을 맡았다. 1925년 4월 청년동맹회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신설된 조사부의 위원을 맡았다. 이때 잡지 발간, 강연회 개최, 인쇄물의 국내 밀송 등을 통해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1926년에 중국사정연구회(中國事情硏究會)를 조직하여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인 청년들의 중국 대학 및 군관학교 입학 주선과 자격 심사를 주관하였다. 1927년 4월 독립 단체의 대통합을 촉구하기 위한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韓國唯一獨立黨上海促成會)를 조직하여 집행위원이 되고, 10월에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관내촉성회연합회(關內促成會聯合會)를 조직할 때 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같은 해 11월 상하이에서 의열단(義烈團) 창립 제9주년을 맞이하여 한인들에게 격문을 발표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1928년 봄 상하이 일본 총영사관 경찰이 프랑스 주4 당국의 협조하에 수색을 진행할 때 프랑스 조계 패륵로(貝勒路) 항경리(恒慶里)에서 체포되었다. 국내로 압송되어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고 평양형무소에서 1932년 6월까지 옥고를 치렀다. 1932년 12월 옥고 여파와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광재, 『근현대 상해한인사 연구』(경인문화사, 2018)
반병률,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성재 이동휘 일대기』(범우사, 1998)
김희곤, 『중국관내 독립운동단체 연구』(지식산업사, 1995)

논문

김영범, 「현정건의 생애와 민족혁명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 7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최선웅, 「1924-1927년 상해 청년동맹회의 통일전선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한국근현대사연구』 44, 한국근현대사학회, 2008)
주석
주1

대한제국 융희 4년(1910)에 일제가 강제적으로 우리나라의 통치권을 빼앗고 식민지로 삼은 일. 우리나라는 1945년 8월 15일에 독립을 되찾았다.    우리말샘

주2

육촌 형.    우리말샘

주3

상선(商船)을 부려서 사람이나 물건을 나르는 일을 하는 회사.    우리말샘

주4

19세기 후반에 영국, 미국, 일본 등 8개국이 중국을 침략하는 근거지로 삼았던, 개항 도시의 외국인 거주지. 외국이 행정권과 경찰권을 행사하였으며, 한때는 28개소에 이르렀으나 제이 차 세계 대전 이후에 폐지되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오영섭(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