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 어순 비교 연구 ( )

언어·문자
문헌
중국의 조선어 어학자 태평무가 중국어와 조선어의 어순에 대하여 비교 연구한 학술서.
이칭
이칭
중조어순의 대비적연구
목차
정의
중국의 조선어 어학자 태평무가 중국어와 조선어의 어순에 대하여 비교 연구한 학술서.
내용

태평무의 김일성종합대학 박사학위논문을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구조-기능적 측면, 논리-의미적 측면, 정보론적 측면에서 중국어와 조선어의 어순에 대해 비교 고찰하였다. 우선, 중국어와 조선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했다. 중국어는 ‘주어(S)+서술어(V)+목적어(O)’의 구조로 된 언어로서 그에 상응한 발전 추세를 보이면서 전, 후치사(중국어의 개사介詞 혹은 조사助詞에 해당하며 일부 어휘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위치, 시간, 장소, 대상 등을 나타내는 품사)적 성격을 띤 언어다. 따라서 규정어(수식어)가 길어지는 것을 꺼린다. 이에 반해 조선어는 ‘주어(S)+목적어(O)+서술어(V)’의 구조로 된 언어이면서 ‘좌측 확장’(수식어의 성격을 지니므로 문장에서 피수식어를 중심으로 왼쪽 방향으로 확장이 된다는 뜻)의 언어다.

구조-기능적 측면에서 수식어의 위치적 대비, 주어, 서술어, 보어(목적어)의 위치적 대비, 주어, 상황어(중국어에서의 상어狀語), 서술어의 위치적 대비, 중국어에서의 보충어와 보어 및 조선어에서의 상황어(수식어)와 보어의 위치적인 대비, 종속 복합문에서의 단일문들의 위치적 대비 등에 대해 구체적인 예문을 들어 기술했다.

논리-의미적 측면에서 일반 서술문에로의 명명문과 무주어문의 개편, 어순에 의한 문장 단위들의 위치, 하나의 공통한 주어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단일문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에서의 어순의 개편, 대비적 관계에 놓여 있는 단일문들의 위치적 대비, 전제와 결론의 위치, 상하 문맥의 조응 관계에 의한 문장 단위들의 위치적 대비 등을 통해 양국 언어의 논리와 판단 사이에서 나타나는 어순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정보론적 측면에서 사회언어학의 정보론 개념에 입각하여 구정보와 신정보의 구조 및 그 특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의문문에서의 문장 성분 단위들의 위치, 주술 도치문의 관계, 중국어 ‘파자구(把字句: 목적어를 동사 앞에 도치시켜 어떤 사물에 대해 처치하거나 그 처치의 결과를 강조할 때 쓰이는 문장)’의 특성, 정보론적 측면에서 본 상하 문맥의 조응 관계와 문장 구조의 분석을 했다.

의의와 평가

1980년대, 중국에서 중국어와 조선어 어순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진행한 연구이며, 이론적인 바탕이 될 수 있는 연구 성과이다. 단 예문 중의 대부분이 1970-1980년대 텍스트에서 따온 것이 많으므로 정치적인 색채가 다분하다.

참고문헌

「한국어 어순의 소개 및 중한 어순 대비연구(韓國語語序的簡介及中韓語序的對比研究)」(王精金, 『上饒師範學院學報』 2014. 2)
「한국어 교육의 시각으로 본 중한 어순 대비」(池聖女, 『文學教育』 2013. 7)
「在漢語教學中韓漢多項副詞共現語序現象」(張慧貞·李英姬, 『文學教育』 2012. 1)
「중한 어순대비 연구(中韓語序對比研究)」(陳陽, 『現代交流』 2011. 12)
집필자
김홍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