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순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과 한국광복군 대원으로 활동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전월선(全月善)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3년 2월 6일
사망 연도
2009년 5월 25일
본관
정선(旌善)
출생지
경상북도 상주군
정의
일제강점기 때,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과 한국광복군 대원으로 활동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전월순(全月順)은 일제강점기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에서 활약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정선(旌善)이며, 전월선(全月善)이란 이름도 사용하였다.

생애

1923년 2월 6일 경상북도 상주군 공성면 금계리 694번지에서 아버지 전석출(全石出)의 2녀 중 둘째딸로 태어났다. 1939년 9월 중국 귀주성(貴州省)으로 이주하였고, 1942년 19세 되던 해에 백범 김구(金九)의 중매로 김근수(金根洙)와 결혼하였다. 김근수는 광복군 제1지대에서 낙양지구 선전공작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슬하에 3남 4녀의 7남매를 두었다.

전월순은 조선의용대와 광복군 활동을 펼치다가 1945년 귀국하여 서울 마포와 경기도 용인 등지에서 살았다. 1991년 남편 김근수와 사별하였으며, 2009년 5월 25일 노환으로 향년 87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유해는 대전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제4묘역에 안장되었다.

활동사항

1938년 10월에 우한〔武漢〕에서 조선의용대가 창설되었다. 우한이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함락되자 조선의용대는 광시성〔廣西省〕 구이린〔桂林〕으로 본부를 이동하였다. 구이린에서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이 결성되었다. 1939년 9월 중국 귀주성으로 이주한 전월순은 16세의 나이로 구이린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에 입대하였다. 부녀복무단원들은 일본군에 대한 정보 수집과 대원 초모 활동을 펼치었다.

중국 국민당 지구에서 활동했던 조선의용대와 부녀복무단 일부는 중국 국민당 포로수용소로 찾아가 일본군으로 참전했다가 포로로 잡힌 한적(韓籍) 병사 30여명을 석방시키고 소정의 훈련을 받게 한 뒤 조선의용대에 입대시켰다. 한편 1941년 6월 주1 태항산 근거지로 들어간 조선의용대원과 부녀복무단 대원들은 조선의용대 화북지대(華北支隊)에서 조선의용군 화북지대로 개편되었다.

한편 충칭〔重慶〕에서는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군되었으며, 전월순 부부는 10월 충칭으로 이동하였다. 1942년 4월 20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28차 국무회의에서 조선의용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 산하로 편입하였다. 전월순 부부는 1942년 7월에 한국광복군 제1지대 대원으로 편제되어 광복군으로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0년에 주2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참고문헌

『조선의용군의 독립운동』(염인호, 나남, 2001)
『독립운동사』 6(독립군전투사 하)(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5)
「열여섯 조선의용대 처녀 독립군: 전월순」(이윤옥, 『서간도에 들꽃 되다: 시로 읽는 여성독립운동가 20인』, 얼레빗, 2011)
「한국의 정치 명가: 독립운동가 김근수·전월선 부부」(『중앙일보』 2011.8.10)
주석
주1

항일 전쟁 때에 화베이(華北)에서 활약한 중국 공산당의 주력군. 1937년 제이 차 국공 합작 후의 명칭이며, 1947년에 인민 해방군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대한민국을 세우는 데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나라의 근본을 튼튼히 하는 데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주는 훈장.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의 다섯 등급이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명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