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란사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여성 교육가이자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신여성.
이칭
본명
김란사(金蘭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72년(추정)
사망 연도
1919년 4월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평양 혹은 안주(安州)
주요 경력
이화학당 총교사 및 대학과 교수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1995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하란사는 일제강점기 여성 교육가이자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신여성이다. 본명은 김란사(金蘭史)이며 이화학당 입학 후 일본과 미국에서 수학하였다. 한국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미국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이화학당에 부임하여 학생들에게 독립 의식을 고취시키고 여성 교육과 독립운동에 힘썼다. 한일합병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파리 강화 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준비 중 뜻을 이루지 못하고 북경에서 별세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여성 교육가이자 독립운동가로 활동한 신여성.
가계 및 인적 사항

하란사는 1872년(고종 9) 평안남도 안주(安州) 출생이라고 한다. 1893년(고종 30) 하상기와 결혼 후 이화학당에 입학하였으며, 일본을 거쳐 미국에서 유학하였다. 미국 입국 시 남편의 성을 따라 ‘란사 하(Nansa Ha)’로 기록한 이후 하란사(河蘭史)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본래의 성을 따라 김란사(金蘭史)로 기록하는 추세이다. 그녀의 유일한 혈육이던 딸이 18세에 사망해 남은 직계 혈족이 없었다.

주요활동

하란사가 이화학당에 입학한 시기는 1895년(고종 32)경으로 추정된다. 입학 후 얼마 되지 않아 그녀는 일본에서 1년 정도 수학한 후 1897년(광무 1) 다시 미국에서 유학하였다. 1900년(광무 4)부터 미국 오하이오웨슬리언대학교(Ohio Wesleyan University)에서 수학한 후 1906년(광무 10)에 문학 학사(B.L.)를 받고 귀국하였다.

그녀가 귀국한 후인 1906년 여름부터 이화학당 총교사(교감) 겸 기숙사 사감을 맡았으며, 1910년 대학과가 개설된 뒤에는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교수로 임명되었다. 당시 이화학당의 학생 동아리 ‘이문회(以文會)’를 통해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선각자로서의 삶을 강조했다고 한다. 그의 제자 중에는 1919년 만세운동에 참여했던, 이문회의 학생 유관순(柳寬順)도 있었다.

하란사는 귀국 후 고종의 통역과 고종과 엄비(嚴妃)의 자문(諮問)을 하며 왕실에 근대 학교의 설립을 주장하는 것과 같은 조언을 하였다고 한다. 1909년(순종 3)에는 해외 유학을 다녀온 3명의 여성인 박에스더(김점동), 윤정원과 함께 고종으로부터 은장(銀章)을 수여받았다. 1910년대에도 국내에서의 선교 활동과 함께 여성 계몽과 교육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였다. 1916년에는 미국을 방문해 순회강연을 통해 모금 활동에도 힘썼다.

하란사는 다른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을사조약(乙巳條約)과 일제의 강제 병합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파리 강화 회의에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고종의 승하로 중단되었으며, 1919년 재차 파리 강화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북경에 도착하여 준비하던 중 뜻을 이루지 못한 채 갑자기 사망하였다. 하란사는 여성 인권 신장과 교육에 헌신한 선각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이후 여성 지식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상훈과 추모

국가 보훈처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으며, 2018년 국립서울현충원에 그의 위패가 봉안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정충량, 『이화80년사』(이대출판부, 1967)

논문

고혜령, 「최초 여학사 하란사의 생애와 활동」(『유관순 연구』 16,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2011)
김성은, 「신여성 하란사의 해외 유학과 사회 활동」(『사총』 77,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2)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2)
유관순 열사의 스승 김란사의 생애와 업적, 『중앙매일』(2016. 3. 3)(http://www.jamill.kr/news/articleView.html?idxno=55442)
집필자
홍나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