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활복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민관 합작 범국민 생활개선운동으로 활발히 추진되었던 신생활운동의 일환으로 제정된 의복.
이칭
이칭
간소복, 국민복, 재건복, 신조복(新潮服), 청조복, 작업복, 새생활복
내용 요약

신생활복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민관(民官)이 합작하여 범국민 생활 개선 운동으로 활발히 추진하였던 신생활운동(新生活運動)의 일환으로 제정된 의복이다. 따라서 신생활복은 해방 후 시기별 신생활운동 과정에서 제정된 다양한 의복들을 포괄한다. 남자용 신생활복으로 반소매와 노타이셔츠(하복), 혼방 또는 면 소재의 작업복 스타일 상의와 하의(춘추동복)가 규정된 반면, 여자용 신생활복으로는 통치마와 적삼, 개량 한복, 원피스, 투피스 등 다양한 형태의 간소복이 제안되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민관 합작 범국민 생활개선운동으로 활발히 추진되었던 신생활운동의 일환으로 제정된 의복.
내용

해방 후 건국, 전쟁, 전후 복구, 재건이라는 과업을 이루어 내고, 빈곤과 사회 혼란에 대한 대책으로 국민의 일상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신생활운동(新生活運動)이 전개되었다. 해방 직후 신생활운동 과정에서 논의된 의생활 개선 방안은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주1, 주2, 주3, 주4 폐지, 비위생적이고 비경제적인 백의(白衣) 폐지, 비활동적이고 비경제적인 조선옷의 개량, 활동이 편한 옷의 개발, 복장의 간소화, 사치 금지 등이었다.

신생활복(新生活服)이라는 구체적인 옷의 형태가 처음으로 고안된 것은 1949년 5월 서울시(시장 윤보선) 산하 신생활촉진회(新生活促進會)에서였다. 서울시 신생활촉진회 의복 분과 위원회에서 토의 · 결정하여 제정한 주6 표준 주5을 ‘신생활복’이라 불렀으며, 여자는 통치마에 적삼, 남자는 반소매에 주7, 긴바지 또는 반바지가 규정되었다. 이 시기 신생활복 장려를 위한 전시회와 재단 강습회가 열리기도 하였다. 이어 1949년 8월 27일 문교부에서 발표한 「국민의복개선요령」에는 남녀 공무원복이 제시되었다. 해방 전 국민복과 유사하였던 이 옷은 ‘건국복(建國服)’이라 불렸다. 1952년 한국전쟁기에는 전시 상황에 적합한, 주8 국민들의 신생활복으로 활동적이고, 전시에 군복으로 대용할 수 있는 남녀 공용 점프수트가 제안되었다. 전후 복구기인 1955년 7월 8일에는 국회의원과 공무원이 솔선하여 신생활복을 착용하자는 취지에서 국회에 「국회의원과 공무원들의 신생활복 착용 결의 및 건의안」이 제출되었고 이 때의 신생활복은 반팔의 노타이셔츠였다. 1960년 4·19혁명 이후 젊은 정치인들이 중심이 된 청조운동(淸潮運動)에서는 면 작업복을 입자는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 옷은 ‘청조복(淸潮服)’이라 불렀다.

1961년 5·16 군사 주9 이후 발족한, 국가 최고 통치기구인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 주10 재건국민운동본부(再建國民運動本部)에서는 해방 후부터 전개되어 왔던 신생활운동을 관(官) 주도로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공무원들의 의복 간소화 정책은 주11 지침으로 시작되어 정부 기관에서부터 솔선수범하였으며, 1961년 한국전쟁 기념일에는 개량 주12, 원피스, 투피스, 여대생 복장 등 다양한 컨셉의 여성 신생활복이 거리를 행진하였다. 각 대학 가정학과에서 준비한 신생활복 전시가 열렸고, 같은 해 8월 12일에는 재건국민운동본부에서 도시의 근무복뿐 아니라 농촌의 노동복까지 포함한 신생활 간소복 패션쇼를 개최하였다. 공모된 신생활복 중에 1961년 9월에는 표준간소복(標準簡素服)이 제정되었다. 5·16 군사정변기에 남성 신생활복은 주로 넥타이를 매지 않고 하얀 와이셔츠를 내보이지 않는 군대식 양복 형태의 남자 공무원복을 의미하며, ‘작업복’, ‘청조복’, ‘신조복(新潮服)’, 주15’, 주14’ 등 다양하게 불렸다. 여성 신생활복은 치마저고리가 붙은 한복 원피스를 포함하여 단순하고 활동에 편하게 제작된 간소복으로, “멋있고 값싼 간소복”이라는 대대적 홍보는 일상복으로 한복을 입던 문화를 사라지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당시, 신생활복의 유행은 기성복 산업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해방 후 신생활복의 제정과 착용으로 국가적 주16 과제 해결의 동력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인식은 당대 엘리트층에게 널리 수용되고 있었다. 관 주도로 복장을 통제하여 국민의 의복 생활을 간소화하려고 한 주19은 1963년 군사 주17가 해체되고 권력이 민간 정부에 주18 제3공화국이 출범하면서 희미해져갔다.

참고문헌

논문

이민정, 『복식과 이데올로기: 일제강점기와 박정희정권기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임종명, 「해방 공간과 신생활운동」(『역사문제연구』 27, 역사비평사, 2011)
조유재, 「해방 이후 신생활운동의 전개와 관제화의 경향」(『한국민족운동사연구』 108,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인터넷 자료

『연합뉴스』(https://www.yna.co.kr/view/AKR20221017039100005)
‘신생활복 전시’, 『대한뉴스』(https://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243&mediadtl=1714&gbn=DH&quality=M&page=1)
국가기록원, ‘간소복: 사치한 옷차림에 집안 살림 무너진다’(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simpleClothes.do)

기타 자료

‘만물상’(『조선일보』 1962.03.31.)
‘공무원에 청조복’(『조선일보』 1961.03.24.)
주석
주1

온 국민이 입도록 간편하고 검소하게 만든 옷. 우리말샘

주2

여름에만 입는, 간편한 원피스로 된 부인복. 우리말샘

주3

여자들이 일할 때 입는 바지의 하나. 일본에서 들어온 옷으로 통이 넓고 발목을 묶게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4

걸음을 걸을 때 발목 부분을 가뜬하게 하기 위하여 발목에서부터 무릎 아래까지 돌려 감거나 싸는 띠. 우리말샘

주5

평상시에 입는 옷. 우리말샘

주6

여름철 기간. 우리말샘

주7

넥타이를 매지 않고 입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셔츠. 우리말샘

주8

전선에서 비교적 뒤에 떨어져 있는 지역. 전방 부대에 대한 물자, 병력 따위의 보급이나 보충을 담당한다. 우리말샘

주9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장군을 중심으로 한 소장 장교들이 일으킨 군사 정변. 민주당의 장면(張勉) 정권을 무너뜨리고 군사 정부를 수립하여 2년 동안 군정(軍政)을 실시하였다. 우리말샘

주10

어떤 조직체나 세력의 관할 아래. 우리말샘

주11

지방 행정, 지방 재정, 지방세, 국민 투표, 지방 자치 단체의 감독, 치안, 해안 경비 및 민방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중앙 행정 기관. 1998년 2월 총무처와 함께 행정 자치부로 통합되었다. 우리말샘

주12

일상생활에서도 활동하기에 편안하도록 현대식으로 고친 한복. 대개 전통 한복보다 저고리가 길고 옷고름이 없다. 우리말샘

주14

오일륙 군사 정변 이후 정부에서 입도록 한 검소한 작업복. 재건 국민운동 본부에서 생활의 간소화, 합리화를 꾀할 목적으로 권장하였다. 우리말샘

주15

온 국민이 입도록 간편하고 검소하게 만든 옷. 우리말샘

주16

바로 눈앞에 당함. 우리말샘

주17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군인들이 다스리는 정부. 우리말샘

주18

남에게 넘어가다. 우리말샘

주19

물체에 힘을 가하여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