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수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판목에 글자를 새기는 사람.
이칭
이칭
각공(刻工), 각원(刻員), 각자장(刻字匠)
내용 요약

각수(刻手)는 판목(版木)에 글자를 새기는 사람이다. 각자장(刻字匠), 각공(刻工), 각원(刻員) 등으로 불렸으며, 이를 담당한 계층은 주로 승려와 벼슬 없는 민간인이었다. 이들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각종 서적을 간행하고, 간경도감의 서적을 출판하는 데 참여하였다. 그들은 관아에 전적으로 매이지 않고 농사 등 본래의 생업에 종사하다가 감영(監營)에 일거리가 생겼을 때 도각수(都刻手)를 따라 응분의 보수를 받고 일을 하고, 그 일이 끝나면 평소 생업으로 돌아오는 형태를 취하였다.

목차
정의
판목에 글자를 새기는 사람.
내용

각수(刻手)는 판목에 글자를 새기는 사람이다. 각자장(刻字匠), 각공(刻工), 각원(刻員)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문헌에 나타난 각수의 명칭 역시 다양한데, 각수, 각자(刻字), 각(刻), 간자(刊字), 각원(刻員), 각공, 도(刀), 간각(刊刻), 원각(願刻), 양공(良工) 등이 자주 사용되었다. 이를 담당한 계층은 주로 승려와 벼슬 없는 일반인이었다.

이러한 각수들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각종 서적 간행에 참여하였으며, 간경도감(刊經都監)의 여러 서적을 출판하는 데 있어서도 당대의 유명한 각수들이 참여하였다. 예를 들어, 세조 때 간행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변란 우측 하단에 나타난 이영산(李永山), 장막동(張莫同), 고말종(高末終), 박군실(朴君實), 박충연(朴忠連), 최득산(崔得山), 유돈일(柳頓一), 홍개미치(洪介未致), 우인수(禹仁守), 최금동(崔今同) 등은 모두 당대의 최고 가는 각수들로, 이들의 뛰어난 판각술은 당시에 간행된 여러 서적을 통하여 잘 드러나고 있다.

『영영사례(嶺營事例)』 「간역식례(刊役式例)」에 의하면, 서적 간행에 필요한 물품은 각 읍에 분정하였으며, 각수, 목공(木工), 소목장(小木匠), 야장(冶匠)을 두어 이들에게 규정된 주1를 지급하고, 또한 작업 성과에 따라 별도의 주2을 지급하였다고 한다. 또한 각종 사료(史料)에 의하면, 각수는 관아에 전적으로 매이지 않고 농사 등 본래의 생업에 종사하다가 감영(監營)에 일거리가 생겼을 때 도각수(都刻手)를 따라 응분의 보수를 받고 일을 하고, 그 일이 끝나면 평소 생업으로 돌아오는 형태를 취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 초기에는 또한 관아의 주3들에게 소정의 직위를 수여하여 일반 장인들을 감독하게 하는 한편 그들의 생계를 보장토록 하였다. 이들 역시 원래 관아에 소속된 각수들이었으나 관판을 비롯해 간경도감 및 왕실판 불서를 판각한 공으로 잡직(雜織)을 넘겨 받게 되었다. 각자장의 판각 활동이란 본래 관판이나 왕실판의 개판에 한정될 수밖에 없었으나, 간혹 왕실의 발원으로 지방의 사찰에서 개판불사(開板佛事)가 행해질 경우 부득이 여러 명의 숙련된 각자공이 동원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장인진, 『영남 문집의 출판과 문학적 양상』(계명대학교출판부, 2011)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 책판의 가치와 의미』(한국국학진흥원, 2012)
남권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 각수 인명록』(한국국학진흥원, 2014)
한국국학진흥원, 『문집판각의 기록- 간역시일기』(한국국학진흥원, 2015)

논문

김상호, 「國朝寶鑑 1782年 板本의 刻手 硏究』(『서지학연구』 44, 한국서지학회, 2009)
김상호‧최혜정, 「刻手의 所用諸具 硏究 -1850년 전후의 의궤기록을 중심으로-」(『서지학연구』 69, 한국서지학회, 2017)
劉東元, 「商工業의 槪觀」( 『韓國史論』 11, 국사편찬위위원회 편, 1982)
주석
주1

관아의 구실아치들에게 급료로 주던 쌀. 우리말샘

주2

물건을 만들거나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품삯. 우리말샘

주3

수공업에 종사하던 장인. 관공장(官工匠)과 사공장(私工匠)으로 나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