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우리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조선시대의 활자본 인쇄에서, 활자를 식자하기 위한 식자판을 제작할 때 활용되는 ‘인판의 네 테두리[四周]’인 목재로 제작된 인판 틀.
내용 요약

목우리(木亐里)는 조선시대 책우리(冊亐里)의 하나로, ‘목재로 제작된 책우리’를 일컫는 말이다. 활자본(活字本)의 인쇄에 있어서, 활자를 식자(植字) · 조판(組版)하기 위한 식자판(植字版, 印版)을 제작할 때, ‘식자판의 바깥 네 둘레[四周]’를 돌리면서 인판(印版)의 기본 골격을 잡아줌과 동시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이른바 ‘인판 바깥의 네 둘레[四周] 테두리가 되는 책우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키워드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활자본 인쇄에서, 활자를 식자하기 위한 식자판을 제작할 때 활용되는 ‘인판의 네 테두리[四周]’인 목재로 제작된 인판 틀.
내용

목우리(木亐里)는 주1의 기본 골격을 잡아주고 주2을 고정시켜 주는, ‘목재로 제작된 식자판의 네 테두리[四周]’를 일컫는다. 인쇄된 책장의 네 둘레에 돌려진 검은 선(線)을 주3’이라 이른다. 주4’이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이를 ‘변란(邊欄)’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활자본(活字本)의 경우 이 광곽은, ‘인판(印版)의 바깥 틀’이 활자본을 인쇄할 때 먹물에 찍힌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한국의 전통 인쇄 장인들은 이것을 ‘책우리(冊亐里)’라고 불렀으며, 주자소(鑄字所)에서 지켜야 할 시행 규칙을 기록한 필사본 『주자소응행절목(鑄字所應行節目)』에도 동일하게 명명하고 있다.

책우리는 ‘식자판(植字版)의 바깥 네 둘레[四周]의 테두리’를 일컫는 것으로, 식자판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식자판을 제작할 때, 먼저 식자판의 바깥 네 둘레에 책우리를 만들어 식자판의 외형 윤곽을 마련하고, 그 중앙에는 주5’을 배치한다. 판심 부분에는 ‘어미(魚尾)’와 주6’ 등과 같은 장책(粧冊)의 기준이 되는 장식(裝飾)을 넣는다. 판심의 좌우 부분에는 활자를 배치하면서 동시에 칸막이 역할을 하는 ‘계선(界線)’들을 배치하고, 각 계선 안에는 개개의 활자들을 차례대로 배열하여 주7을 완성한다. 그리고 인쇄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므로 책우리는 식자판의 골격이 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책우리의 종류로는 ‘ 철우리(鐵亐里)’와 ‘목우리’ 등이 있다. 여기에서 ‘목우리’는 ‘나무로 만든 책우리’라는 뜻이다. ‘우리’는 ‘울타리’의 고어 또는 경상도 방언에서 온 말로, 이를 한자로 차자(借字)하여 ‘우리’라 표기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나무 우리’는 ‘목우리’로 지칭되었다.

『주자소응행절목』의 「책우리」 조(條)에는, 11종의 ‘활자명(活字名)/서명(書名)’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들 활자명 · 서명에 활용되는 ‘철우리’와 ‘목우리’ 등의 책우리가 아울러 기록되어 있다. 그중에서 ‘목우리’는 단 1종에 그치고, ‘철우리’가 6종, 나머지는 ‘철 · 목인찰판(鐵 · 木印札板)’ 등이다. 따라서 19세기 전기에 적용된 책우리에는, 철우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철우리는, 그 네 둘레가 붙어있는 이른바 고정식으로 제작되는 경향이 강하다. ‘위부인자(衛夫人字, 甲寅字 계열), 한구자(韓構字), 생생자(生生字, 木活字), 정리자(整理字)’ 등의 활자에 사용된 책우리는 모두 철우리로 제작되었는데, 이들 철우리가 인쇄된 한 면에 배열된 행자수(行字數)는 ‘10행(行) 18~20자(字)’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보면 금속활자의 인쇄에 활용되는 책우리에는 반드시 ‘철우리’만을 사용한다는 원칙도 성립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주자소응행절목』에 제시된 목우리는 『정리의궤(整理儀軌)』를 식자(植字)하는 식자판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 목우리는, 상하좌우의 네 둘레 목우리가 모두 분리된 목재를 투입한, 이른바 조립식(組立式)으로 제작된 양상으로 보인다. 이 목우리 속의 단면에 배열된 행자수는 ‘12행 22자’로 확인된다. 이로 볼 때, 이 목우리의 규모가 철우리보다 다소 큰 규격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목우리는 식자판(인판틀)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목우리’는 활자본의 인쇄에 있어서 활자를 식자(植字)하기 위하여 식자판(植字版, 印版)을 제작할 때, 그 인판의 네 둘레(四周, 테두리)를 돌리면서 식자판의 기본 골격을 잡아줌과 아울러 인판틀을 고정시켜 주는, 이른바 ‘목재로 제작된 책우리(冊亐里, 테두리)’이다.

참고문헌

원전

『鑄字所應行節目』(筆寫本,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

단행본

최정태 외, 『기록관리학사전』(한울아카데미, 2005)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논문

藤田亮策, 「字所應行節目に就きて」(『書物同好會會報』 11, 1941)
유대군, 「주자소 설립에 관한 몇 가지 문제」(『한국문학연구』 2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2)
주석
주1

활자로 짜서 만든 인쇄용 판. 또는 그 판으로 하는 인쇄. 우리말샘

주2

인쇄하는 데 쓰는 판. 재료에 따라 목판ㆍ석판ㆍ아연판ㆍ동판 따위가 있고, 양식에 따라 평판ㆍ오목판ㆍ볼록판이 있다. 우리말샘

주3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

옛 책에서, 책장의 가운데를 접어서 양면으로 나눌 때에 그 접힌 가운데 부분. 우리말샘

주6

판심(版心)의 위쪽과 아래쪽에 있는 검은 선. 굵은 것은 대흑구(大黑口)ㆍ관흑구(寬黑口)ㆍ조흑구(粗黑口)라 하고, 가는 것은 소흑구(小黑口)ㆍ세흑구(細黑口)ㆍ선흑구(線黑口)라 한다. 우리말샘

주7

원고에 따라서 골라 뽑은 활자를 원고의 지시대로 순서, 행수, 자간, 행간, 위치 따위를 맞추어 짬.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수(청주대학교 명예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