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우리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활자 인쇄상에 있어서 조판을 할 때 활자를 끼워서 조립, 배열하는 금속제 틀.
내용 요약

철우리는 활자 인쇄상에 있어서 조판을 할 때 활자를 끼워서 조립, 배열하는 금속제 틀이다. 우리의 종류에는 철우리를 비롯하여 목활자 인쇄에 사용하는 목우리 등이 있다. 또 같은 유형이지만 활자를 끼우는 것이 아니라 필사본을 쓸 때의 양식지를 찍어내는 역할을 하는 쇠나 나무로 만든 인찰판(印札板)도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활자 인쇄상에 있어서 조판을 할 때 활자를 끼워서 조립, 배열하는 금속제 틀.
내용

철우리(鐵亐里)는 활자 인쇄 과정에서 조판을 할 때 활자를 끼워서 조립하고 배열하는 금속제 틀을 말한다. 우리(亐里)의 종류에는 철우리를 비롯하여 목활자 인쇄에 사용하는 목우리 등이 있다. 또 같은 유형이지만 활자를 끼우는 것이 아니라 필사본을 쓸 때의 양식지를 찍어내는 역할을 하는 쇠나 나무로 만든 주1도 있다.

조선시대 19세기 초에 작성된 주자소의 편람 및 개요서인 『주자소응행절목(鑄字所應行節目)』에 당시까지 주자소에 남아 있었던 여러 활자와 활자 보관 용기인 활자장, 목판에 새긴 책들의 목록, 보관하고 있던 책과 더불어 조판틀인 우리의 목록과 수량이 기록되어 있다. 그 중 철우리에 대한 기록은 주2 철우리 30판(10행 18자), 한구자(韓構字) 철우리 12판(10행 20자), 생생자(生生字) 철우리 25판(10행 20자), 정리자(整理字) 철우리 30판(10행 20자) 등과 같이 각각의 활자들을 조판하는 틀의 수와 각 틀의 조판상의 형식을 구분하여 기록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가운데 위부인자 철우리는 13판이 외각 즉 교서관에 있고 생생자의 경우 25판 외에 철우리 20판(10행 18자), 작은 판 우리 10판(10행 22자)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 『정리의궤(整理儀軌)』 철 · 목우리 15판(12행 22자), 주3 철우리 2좌(坐)(10행 20자) 등과 같은 특정 책을 찍어낼 때 사용한 철우리에 대한 기록과 함께 활자 인쇄가 아니라 필사본을 쓰기 위한 일종의 양식판으로 『일성록(日省錄)』 인찰판(印札板)(10행 20자) 1좌, 『오경백편(五經百篇)』 목인찰판(7행) 1좌, 『실록(實錄)』 철인찰판(15행) 1좌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생생자의 작은 우리판 중 5판의 인찰은 『분운(分韻)』의 작은 판을 만들 때 잘라서 사용하고 『정리의궤』 철 · 목우리 15판 중에 8좌도 『두율분운(杜律分韻)』의 작은 판을 찍을 때 사용하였다. 이 우리와 유사한 명칭으로 조선 후기에 실록을 찍을 때의 문서나 절차, 소요 물품 등 각종 기록을 적은 의궤류(儀軌類)에서는 조판하는 바닥 틀을 위리(圍里)라는 용어로 사용하였고 인찰의 경우도 동인찰(銅印札) 등으로 재료를 표기하고 있다.

실록의 경우 조판과 인출에 관련된 기구 중에는 위리의 용도로 넓은 송판의 숫자와 함께 매 판의 동인찰의 수를 제시하는 것으로 보아, 이 때의 위리는 조판의 전체 틀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절차로 볼 때 글자를 원고대로 1차 배열하는 데 사용되는 활자를 가려 뽑은 균자판(均字板)에서 철우리가 고정된 조판대 위에서 조판의 작업을 거친 후 먹을 바르고 찍어내는 인출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철우리를 만드는 재료로는 정철(正鐵), 숙동(熟銅), 유랍(鍮鑞) 등이 사용되었고, 철우리 구조는 테두리, 행간을 구분하는 동인찰 등이 일체형으로 조합된 것과 분리형으로 조판 사용 시 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있다.

현존하는 고려 금속활자인 『직지(直指)』 하권의 경우 전체로 보면 모양이 다른 2개 철우리 또는 조판틀이 번갈아 사용되었고 현존 활자본들을 조사해 보면 조선 초기의 활자판들에서는 5~6개의 판이 사용되다가 임진왜란 후의 판본들에서는 10판 이상이 사용되었다. 이는 여러 장을 동시에 조판하여 번갈아 인출하여 출판의 신속성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었다. 실록 등을 찍을 때 간혹 만들거나 사용한 철우리 책판은 교서관(校書館)으로 보내어 보관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鑄字所應行節目』
주석
주1

세로로 여러 줄이 쳐져 있는, 인찰지를 박아 내는 판. 우리말샘

주2

조선 세종 16년(1434) 갑인년에 만든 구리 활자. 이천, 김돈, 장영실 등이 왕명으로 ≪효순사실(孝順事實)≫, ≪논어≫ 따위를 글자본으로 하여 만든 것으로 활자는 현존하지 않고, 인쇄본으로 ≪신간대자부음석문삼주≫ 1권이 전한다. 우리말샘

주3

임금이 몸소 짓거나 만듦. 또는 그런 글이나 물건. 우리말샘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