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각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이미 간행한 책을 다시 판각하는 출판 행위.
내용 요약

중각(重刻)은 이미 펴낸 책을 다시 판각하는 것이다. 이미 간행한 책을 재간행할 때, 기존 책판이 훼손 · 분실되어 사용할 수 없거나 내용의 증보(增補) · 산삭(刪削)으로 책의 전면적인 수정이 필요한 경우, 책을 다시 편집하여 판각하는 것을 중각이라 하고, 중각하여 간행한 책을 중간본(重刊本)이라 한다.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중요한 학술 자료의 유포나 기존 서책의 증보를 위한 중각도 있지만, 오류를 바로잡기 위하여 동시대에 같은 책을 중각하기도 한다.

목차
정의
이미 간행한 책을 다시 판각하는 출판 행위.
내용

중각(重刻)은 이미 펴낸 책을 다시 판각하는 것을 말한다. 이미 목판으로 간행한 책을 재간행할 때 기존 책판이 훼손 · 분실되어 사용할 수 없거나 내용의 주1나 · 주2으로 전면적인 수정이 필요한 경우, 책을 다시 편집하여 목판으로 판각하는 것을 중각이라 하고, 중각하여 간행한 책을 중간본(重刊本)이라 한다.

중각은 그 유형과 목적이 다양하다.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중요한 학술 자료의 유포나 기존 서책의 증보를 위한 중각도 있지만 동시대에 같은 책을 중각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미 책을 간행한 뒤에 주3가 잘못되거나 틀린 글자가 많이 나올 경우, 유포하기 전에 교정을 거쳐 다시 판각하는데, 여기에는 간행 주체의 대립 · 변화 등이 감지되기도 한다. 즉, 한 집단 내에 간행에 대한 의견 대립이 있거나 간행의 주도권이 이동하면서 편집 지침이 다르게 적용되어 마침내 수정 · 보완을 넘어 재편찬까지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선시대 각지 서원에서는 주4이 이루어졌는데, 그중 도산서원은 주5주6 이외에 판각에 있어서도 전국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도산서원의 경우 초각(初刻)이 2/3 정도를 차지하며, 중각한 서적은 10여 종에 이른다. 그 목적은 도산서원에서의 강학을 위한 것과 그 이외의 유가류 서적의 판각을 포괄하였다.

중각 시 간행기를 기록하여 보각과 중각 과정의 간행 과정을 기록하였다. 『선생문집개간일기(先生文集改刊日記)』는 『퇴계선생문집』의 중각 과정을 기록한 간행 기록집이다. 이를 통해 중각 과정의 논의가 어떠했으며, 비용이 어떻게 운용되었는지, 그리고 원고가 교정되는 과정, 판재가 마련되어, 장인이 각판하고, 인출되는 제작 과정 전반에 대해 알 수 있다. 중각에 있어서도 괄목할 만한 역할을 수행했던 도산서원의 각판 활동의 예를 통해, 당시 중각의 대상이 되었던 서적을 통해 학문적 주제와 사상적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선생문집개간일기(先生文集改刊日記)』

단행본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의 목판인쇄』(한국국학진흥원, 2008)
장인진, 『영남 문집의 출판과 문학적 양상』(계명대학교출판부, 2011)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 책판의 가치와 의미』(한국국학진흥원, 2012)
남권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 각수 인명록』(한국국학진흥원, 2014)
한국국학진흥원, 『문집판각의 기록 간역시일기』(한국국학진흥원, 2015)

논문

배현숙, 「陶山書院 刻板活動 硏究」(『한국서원학본』 12, 한국서원학회, 2021)
주석
주1

출판된 책이나 글 따위에서 모자란 내용을 더 보태고 기움. 우리말샘

주2

필요 없는 글자나 글귀를 지워 버림. 우리말샘

주3

순서에 따라 편집함. 또는 그런 순서. 우리말샘

주4

서화(書畫)를 새기는 데 쓰는 널조각. 우리말샘

주5

학문을 닦고 연구함. 우리말샘

주6

책을 간직하여 둠. 또는 그 책.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