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평의(渾平儀)는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후기 박규수가 금속 재질로 제작하였다. 별자리가 새겨진 환은 지름이 34㎝이고, 아래의 받침대 부분까지 합하면 전체 높이는 77.5㎝이다. 금속판 앞뒷면에 적도 남북의 별자리를 표현하여 별자리로 시간과 절기(節氣)를 측정하거나, 절기와 시간에 따라 보이는 별을 찾을 수 있는 천문 기기이다.
금속 재질로 제작된 혼평의는 별자리를 새겨넣은 혼평판(渾平版)과 이를 감싸는 적도규, 지평호, 몽영호, 규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혼평판 양면에 적도 남북의 별자리와 이름이 있고, 위선(緯線)과 경선(經線)이 표시되어 있다.
적도규는 원주에 따라 바깥쪽에 12시(時) 96각(刻)의 눈금을 새겼다. 혼평판과 적도규는 묘유선(卯酉線)을 축으로 회전한다. 지평호와 몽경호는 적도규 안쪽을 연결한 호(弧)로써, 각각 지평선과 박명(薄明) 시각선을 의미한다. 별을 관측하는 규형은 혼평판 중심에서 회전한다.
별자리는 적도를 기준으로 양면에 남반구와 북반구 별자리가 새겨져 있다. 혼평판에는 황도선이 그려져 있으며 태양의 위치를 나타내는 24절기가 표시되어 있다.
혼평판에는 적도를 기준으로 남반구와 북반구 별자리를 투영하도록 하였다. 이 별자리 판에는 황도선, 24절기, 12궁, 28수가 표시되어 있다. 위선은 북극에서 적도 방향으로 10° 간격으로 그렸는데, 극에서는 5° 한계의 원으로 표시했다. 경선은 북극을 중심으로 적도면을 따라 10° 간격으로 그렸다.
적도규에는 12시 96각과 360° 눈금을 표시했다. 북반구 별자리 판에는 춘분(春分)~ 하지(夏至)~ 추분(秋分)의 13개의 절기 명칭과 진, 사, 오, 미, 신, 유, 술의 12궁 명칭을 30°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남반구 별자리 판에는 추분~ 동지(冬至)~춘분의 13개 절기 명칭과 술, 해, 자, 축, 인, 묘 진의 12궁 명칭을 30°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하절기에는 북반구 별자리 판을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남반구 별자리 판을 사용한다. 몽영호는 하절기에 넓은 영역의 별자리가 있는 부분을 사용하고, 동절기에 좁은 영역의 별자리가 있는 부분을 사용한다.
규형은 천체를 조준하거나 고도 측정, 별의 각도를 측정, 12시 96각 시간 측정 등을 위해 사용한다.
박규수가 제작한 종이로 제작한 혼평의가 실학 박물관에도 남아있다. 별자리 판의 지름은 35㎝이고, 금속제 혼평의처럼 별자리가 새겨져 있는데, 규형은 남아있지 않다.
혼평의는 오늘날에 천체 위치를 찾아보기 위한 별자리 판의 기능과 동일하다. 이 판으로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보이는 별자리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