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산물(特産物)
그리고 안협(安峽)의 꿀, 영춘(永春)의 곰취, 철원의 송이, 연안의 인절미 · 식혜 · 연근정과(蓮根正果), 음죽(陰竹)의 팥숭늉, 충주의 개 · 단월무 · 청명주(淸明酒), 면천(沔川)의 쌀 · 피, 강계의 인삼, 강릉의 오디, 울릉도의 복숭아, 인제의 나무독[木瓮 : 김칫독을 이르는듯함.], 용인의 오이김치, 간성의 명태, 신계(新溪)의 문배, 강서의 사과 · 참외, 박천의 흰죽, 대동강의 동수어(冬秀魚), 의성의 앵두, 전주의 죽력고(竹瀝膏) · 연엽찜, 통영의 놋그릇, 능주(綾州)의 작설차 · 무리심배[無心梨], 금화의 개암, 김제의 능금, 장림(長林)의 산사(山楂) 등이 있다. 또한 금성의 석류화, 해주의 청어, 봉산의 금향배[金香梨] · 밀다배[蜜多梨] · 이강고(梨薑膏), 평양의 감홍로(甘紅露), 동래의 놋그릇, 고령의 고종시(高宗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