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저신보 ()

목차
관련 정보
감저신보
감저신보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농학자 김장순이 고구마의 재배 · 이용에 관하여 1813년에 편찬한 농업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농학자 김장순이 고구마의 재배 · 이용에 관하여 1813년에 편찬한 농업서.
내용

1책(19장). 목활자본. 조선 후기의 문헌에는 흔히 ‘김씨감저보(金氏甘藷譜)’로 소개되고 있는데, 선종한(宣宗漢)을 그 공저자로 하여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그것은 이 책이 전라도에서 9년 동안이나 고구마 재배를 시험한 선종한과 구황식물(救荒食物)로서의 고구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던 김장순이 서로 힘을 합쳐 서울 지방에서 고구마 재배에 성공한 뒤, 그 재배·이용법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선종한의 상증(詳證) 아래 김장순이 찬술, 간행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서문·범례·문답에 이어서 종시법(種蒔法)·식품법(食品法)·강씨감저보변와(姜氏甘藷譜辨訛)의 순으로 기술되어 있다.

종시법은 종장(種藏)·상지택지(相地擇地)·경전(耕田)·동경(冬耕)·분전(糞田)·이종(移種)·이종전절(移種田折)·전유등(剪游藤)·수란경상(受卵輕霜)·과정(課程) 등의 14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식품법은 미성(味性)·엽성(葉性)·식품(食品)·조분(造粉)·조주(造酒)·조장(造醬)의 6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책 끝에는 아직 전래되지 않은 감자[北藷]에 대하여서도 관심을 표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서유구(徐有矩)의 『종저보(種藷譜)』와 합본되어 있는 책이 유일하게 전한다.

의의와 평가

우리 나라 최초의 감저보인 강필리(姜必履)의 저작이 주로 중국의 재배·이용법을 바탕으로 하여 찬술된 것이라고 한다면, 이 책은 주로 우리나라에서의 재배경험을 토대로 하여 저술된 것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저작이다.

참고문헌

『한국식경대전(韓國食經大典)』(이성우, 향문사, 1981)
『이조농업기술사(李朝農業技術史)』(이춘녕, 한국연연구원, 1964)
「감저전파고(甘藷傳播考)」(손진태, 『진단학보(震檀學報)13』, 1941)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한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