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풍루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관풍루 정측면
대구 관풍루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경상감영의 정문으로 건립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이칭
이칭
폐문루(閉門樓)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2200030000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명칭
관풍루
원어
觀風樓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종목
문화유산자료
지정번호
제3호
지정일
1982년 03월 04일
소재지
대구 중구 달성동 294 달성공원
경도
128.579166815268
위도
35.8747992425265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220003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경상감영의 정문으로 건립된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개설

1982년 대구문화재자료(현,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경상감영의 정문으로 1601년(선조 34)에 건축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누각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역사적 변천

1601년(선조 34) 대구에 경상감영이 설치되면서 선화당(宣和堂)의 남서쪽에 포정문(布政門)을 세우고 그 위에 문루(門樓)를 만들어 관풍루라고 불렀다. 현재 달성공원 북쪽에 옮겨 세워져 있는데 1906년 당시 관찰사 박중양(朴重陽)이 대구읍성 철거할 때 건물만 옮긴 것이다. 1917년 달성공원 입구로 이전하였다. 이후 1970년 해체되어 1973년에 복원되었다. 1980년에 단청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01년에 단청 및 기와공사 등이 진행되었다.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이며, 겹처마 팔작지붕집으로 화강암 외벌대에 전(塼)을 깐 기단 위에 세워졌다. 하층은 어칸이 양협칸보다 넓으며, 상층은 통간을 우물마루로 꾸미고, 사방에 30cm폭의 쪽마루를 돌출하여 계자각 난간(鷄子脚 欄干)을 돌렸다. 상층에는 배면 어칸 바로 앞에 1칸 크기로 반 칸 너비의 나무계단 18단을 설치하여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지붕의 내림마루에는 잡상(雜像)이 장식되었다.

구조양식은 화강암 정평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주두(柱頭)와 함께 연화를 투각한 앙설(仰舌)과 돋을새김을 한 쇠서 및 봉두가 장식된 이익공양식이다. 상층의 가구(架構)는 5량가(五樑架) 대들보 위에 대접받침을 얹고, 초각한 양봉과 첨차 및 소로를 결구하여 각기 보와 종도리 및 장여를 받도록 하였다. 천장은 연등천장이고, 단청은 모로단청이다.

특징

관풍루의 원래 명칭은 폐문루(閉文樓)로 새벽 5시에 문을 열고 밤 10시에 문을 닫는 것을 알리면서 풍악을 울렸다고 한다. 지금의 관풍루란 이름은 ‘감사가 누상(樓上)에서 세속을 살핀다(觀風世俗)’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달성공원의 출입문을 들어서서 우측으로 돌아가면 최제우동상이 있는데, 그 뒤편에 설치된 돌계단 34단을 오른 높은 언덕 정상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향토문화유적』(대구직할시, 1988)
국가유산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용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