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m. 석탑은 광주공원 안의 빛고을시민문화관 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은 성거사터로 알려져 있다.
석탑은 거북 머리처럼 튀어나온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단층 받침돌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린 일반적인 모습이다. 바닥돌 위에는 큼직한 2단의 받침이 있어 받침돌의 면석을 받치고 있다. 면석은 여러 장의 널돌로 구성되었으며, 각 면석마다 1개의 가운데 기둥을 두었다. 덮개돌에는 밑면에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있고, 윗면 가운데 부분에는 몸돌을 받치는 2단의 각진 굄돌이 있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 올렸다. 몸돌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아 보인다. 곧 1층 몸돌은 여러 장의 돌을 결구(結構)하여 위아래 2단으로 구성하였기에 제법 높고, 2층 이상의 몸돌 역시 체감률이 낮아 높아 보인다. 몸돌에는 각 층마다 모서리 기둥이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추녀가 넓은 편으로, 전각(轉角)은 위아래가 모두 반전(反轉)되었다. 밑면의 받침은 각 층마다 4단이며, 윗면에는 높직한 1단의 굄이 마련되어 있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남은 것이 하나도 없다.
이 석탑은 1961년에 해체·수리되었는데, 이 때 1층 몸돌을 받치는 2단의 각진 굄과 3층 지붕돌의 일부를 새로 만들어 끼웠다. 아울러 당시에 2층 몸돌의 윗면에서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서 파놓은 구멍과 함께 구멍 안에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가 발견되었다.
사리기(舍利器)는 금동으로 만든 탑으로, 수미단(須彌壇) 모양의 받침대에는 각 면마다 고식(古式)에 속하는 안상(眼象)이 1구씩 큼직하게 뚫새김[透刻]되었고, 받침대의 네 귀퉁이에는 서 있는 모습의 사천왕상이 자리하고 있다. 몸체는 받침대와 분리되는데, 몸체 주위에는 난간이 둘러져 있으며, 난간의 각 면에는 2구씩 의식 용구인 여의의 머리장식과 비슷한 여의두(如意頭) 무늬가 뚫새김되어 있다. 몸체의 각 면에도 보살상을 새긴 금동판이 붙어 있고, 몸체 안에는 은제 사리 항아리가 안치되었다. 지붕 역시 몸체와 분리되는데, 처마의 가운데 부분과 추녀 끝에는 심엽(心葉) 모양의 영락(瓔珞)과 풍령(風鈴)이 달려 있고, 지붕 꼭대기에는 보주(寶珠)가 얹혀 있다. 이밖에도 사리기 주변에서는 사경(寫經), 동경(銅鏡), 옥류(玉類) 등이 발견되었다.
사리기가 담고 있는 시대적인 특징은 이 석탑의 건립 시기를 추정하는 주요 근거가 된다. 곧 사리장엄구와 석탑의 양식을 살펴볼 때, 이 석탑은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