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금성초등학교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백제계 석조 불탑. 석탑. 보물.
목차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금성초등학교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백제계 석조 불탑. 석탑. 보물.
내용

높이 4.5m. 석탑은 단층 받침돌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리고 반구형(半球形) 돌로 상륜부(相輪部)를 조성한 모습이다. 석탑이 있는 곳에는 해월사(海月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하며, 지금의 위치가 원래의 자리로 추정된다.

바닥돌은 땅 속에 묻혀 있어 구조를 알 수 없다. 단층 받침돌은 4장의 널돌로 면석을 짜고,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1개의 가운데 기둥을 새겼다. 받침돌의 덮개돌에는밑면의 쇠시리인 부연(副椽)과 윗면의 굄이 모두 생략된 채 아무런 새김을 하지 않았다.

1층 몸돌은 높이가 매우 높지만, 그 위의 몸돌은 낮은 편이어서, 체감을 주었지만 기형적으로 보인다. 몸돌의 각 면에는 별다른 새김이 없이 모서리 기둥만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고 두꺼운 편이지만 각 층마다 그 모습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3층과 5층의 지붕돌에서 더욱 확연히 나타나는데, 받침이 1층·2층·4층은 5단인데 반해, 3층과 5층은 각각 4단과 3단이어서, 비규율성을 나타내면서 체감률에도 혼란을 보인다. 지붕돌 추녀 밑의 전각(轉角)은 가벼운 반전(反轉)을 보이고 있다. 다만 반전은 곡선이 아니고 추녀 아래부분을 비스듬히 잘라서 절단면이 3각을 이루는 이형(異形)이다. 머리장식인 상륜부는 후대에 보충한 것으로 보이는 반구형 돌을 제외하고는 다른 석재가 없는 상태이다.

이 석탑은 백제계 석탑을 계승한 것으로, 1층 몸돌이 지나치게 길고 각 층의 지붕돌이 길고 넓어서 조형미를 갖추지 못한 듯 보인다. 곧 백제계 석탑으로는 가장 남쪽에 건립된 석탑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성 시기는 돌을 다듬은 수법이나 각 부분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 말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전라남도의 석탑』(천득염·김준오,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5)
『전라남도의 석탑』 1~3(문화재연구소, 2005·2006)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문화재대관』4 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6 탑파(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3)
『한국미술전집』6 석탑(황수영 편, 동화출판공사, 1974)
『한국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호남 유산기의 자료적 특징과 의의」(김순영, 『국학연구론총』 13, 택민국학연구원, 2014)
「유배인이 남긴 진도 지역정보」(김덕진, 『호남문화연구』 43,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