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4.5m.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세운 석탑으로,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따르고 있지만 일부에는 고려 석탑의 특징이 보인다.
기단부(基壇部)는 여러 장의 큰 돌로 구성된 바닥돌 위에 설치되어 있다. 아래층 받침돌은 아래 부분과 면석, 덮개돌의 넓이가 거의 비슷하여 퇴화된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모두 여러 장의 돌로 짜여졌는데, 면석의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새겨져 있고, 얕은 경사가 있는 덮개돌에는 1단의 간략화된 굄이 마련되어 있다. 윗층 받침돌의 면석은 4장의 널돌로 구성되었는데, 2면에는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을 새긴 널돌을 세웠지만, 다른 2면에는 가운데 기둥만 조각된 널돌을 끼웠다. 덮개돌은 크기가 같지 않은 2장의 널돌을 올렸는데, 밑면에는 면석과 맞닿은 곳에 쇠시리인 부연(副椽) 대신 낮은 받침을 새겼고, 윗면에는 굄이 표현되었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올렸다. 다만 1층 몸돌만은 4장의 돌로 구성되어, 2면에는 모서리 기둥이 있고, 다른 2면에는 아무런 조각없이 면석만을 끼웠다. 2층 이상의 몸돌에는 모서리 기둥만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넓적한 편으로, 추녀 밑이 곡선을 그리며 반곡(反曲)된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보인다. 밑면 받침은 각 층이 4단이지만 너비가 좁아서 여유가 있는 편이다. 윗면의 낙수면은 경사가 급하고, 전각(轉角)의 반전(反轉)은 추녀 밑을 따라 평행하지만 끝 부분에서 반전을 보이며 예리한 느낌을 준다.
이 석탑은 각 부분의 체감률이 작은 탓으로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또한 석재 결구(結構)도 규칙성이 없고 각 부분의 새김 또한 가날프고 약하다. 하지만 산 속 깊은 곳에 있기에, 석재의 대부분이 남아 있어 시대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는 석탑으로 평가되고 있다. 건립 시기는 받침돌 면석의 가운데 기둥 수와 지붕돌 받침 수의 감소, 지붕돌의 반전 정도 등으로 미루어보아, 고려 중기 이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