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면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독립운동 활동을 한 사회주의운동가.
이칭
이명
백추(白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0년(고종 17)
사망 연도
1969년
출생지
함경북도 경흥
주요 경력
대한의용군사회의 위원장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2002)
내용 요약

김규면은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사회주의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기독교도로 개종하였지만, 포교 규칙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교단을 탈퇴하면서 독립운동을 하였다. 만주와 연해주에서 무장투쟁을 하였고, 중국 관내로 건너가서 사회주의와 민족주의로 양분된 민족운동의 통합을 시도한 사회주의운동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독립운동 활동을 한 사회주의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김규면(金圭冕)은 1880년 함경북도 경흥에서 태어났으며, 이명은 백추(白秋)이다. 어린 시절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으며, 서울 한성사범학교와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였다. 원산으로 이주했을 때 선교사를 만나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주요 활동

1907년 만주의 훈춘〔琿春〕으로 가서 전도사로 활동하면서 국내와 연결하여 신민회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5년에 종교를 규율하는 「포교규칙」이 공포되자 ‘대한성리교회’를 만들어 복음서를 판매하면서 독립자금을 마련하였다.

1918년 일본이 시베리아에 파병하자 대한신민단을 창설하였고, 독립운동 세력의 단결을 의해 노력하였다. 19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으로 건너가 이동휘(李東輝) · 박진순(朴鎭淳) · 김립(金立) 등 30여 명과 함께 한인사회당을 결성하는 데 참가하였다. 또 이동휘계의 군사 지도자 이용(李鏞)과 손을 잡고 시베리아의 한인 군사 조직을 상하이 임시정부 산하에 규합하는 데 힘썼다.

1921년 주1이 발생하기 직전인 5월 18일 오하묵(吳夏默)의 특무대에 한운룡(韓雲龍) · 박원섭(朴元燮) · 우시욱(禹時旭) · 주영섭(朱英涉) · 안태국(安泰國) · 임상춘(林常春) 등과 함께 검거되었으나, 풀려나 대한의용군사회(大韓義勇軍事會)의 위원장이 되었다. 1922년에는 중국 관내로 들어가 활동하면서 ‘상하이청년동맹’을 조직하였고, 1923년 국민대표회의에서 창조파로 활동하였다. 1924년 5월에는 임시정부 교통총장으로 내정되었다. 1925년 ‘ 사회주의자동맹’을 조직하여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로 양립된 민족운동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1927년 장제스〔蔣介石〕의 쿠데타 이후 연해주로 돌아와 블라디보스토크의 한 서점에서 동양 서적 판매원으로 일하였다. 1934년 이후 모스크바에서 연금 생활을 하였다. 이때 이동휘 등 함께 활동한 사람들과 자신의 활동기를 적은 글을 썼다. 1969년 모스크바에서 병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규면의 공훈을 기리어 200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논문

오 세호, 「중국지역에서 전개한 김규면의 독립운동(1923~1927)」(『한국근현대사연구』 88, 2019)
오세호, 「白秋 金圭冕의 독립운동 기반과 大韓新民團」(『한국근현대사연구』 82, 2017)
윤상원, 「러시아지역 한인의 항일무장투쟁 연구(1918-1922)」(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박환, 「모스크바·뻬제르부르크 소재 항일유적-김규면과 이범진」(『한국민족운동사연구』 32, 2002)
신용하, 「大韓新民團 獨立軍의 硏究」(『東洋學』 18, 1988)
주석
주1

1921년 대한 독립 군단과 이르쿠츠크파 공산당이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인 싸움. 대한 독립 군단이 이르쿠츠크파 공산당과 러시아 동맹군에게 무장 해제를 당하였으며 많은 한국인 사상자가 생겼다.    우리말샘

집필자
예지숙(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