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인순부윤, 전라도관찰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공(伯恭)
시호
양평(良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01년(태종 1)
사망 연도
1486년(성종 17)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판돈녕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인순부윤, 전라도관찰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백공(伯恭). 아버지는 개성유수 김겸(金謙)이다. 정종의 둘째딸 숙신옹주(淑愼翁主)와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18년(태종 18)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府事)가 되었고, 이어서 동첨지돈녕부사(同僉知敦寧府事)·상호군(上護軍)·세자우익위(世子右翊衛)·판선공감사(判繕工監事)·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를 역임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공조참의가 되었다.

이어서 병조참의·형조참의를 거쳐 1437년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충주목사에 제수되고, 광주목사를 거쳐 1442년(세종 24) 한성부윤으로 진향사(進香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외직으로 나가 황해도관찰사·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447년 형조참판이 되었다. 이듬해 48세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으나, 곧 뇌물수수 혐의로 탄핵을 받아 전라도 영광으로 유배되었다. 문종이 즉위하여 직첩과 고신(告身: 관직 임명장)을 환급해주었다.

지돈녕부사·한성부윤·개성유수를 거쳐, 문종이 죽자 고부 겸 청시사(告訃兼請諡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57년(세조 3) 대사헌을 거쳐 중추원사(中樞院事)·인순부윤(仁順府尹)·전라도관찰사를 거쳐 1460년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에 제수되었다.

70년 동안 벼슬하면서 7조(七朝)를 보좌하였다. 천성이 온순하고 단아하여 일생 동안 성을 내본 일이 없었다고 한다. 시호는 양평(良平)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