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게

목차
국악
작품
취고수(吹鼓手)들이 연주하는 행진음악.
목차
정의
취고수(吹鼓手)들이 연주하는 행진음악.
내용

‘능게’라는 말의 뜻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취고수는 행진음악을 연주하는 악대로 호적(胡笛)·나발·소라·바라·징·용고(龍鼓) 등 음량이 큰 악기들로 편성된다. 「대취타(大吹打)」·「취타굿거리」·「취타염불」·「능게취타」와 같은 곡을 연주한다.

「능게취타」는 취고수들이 행진음악으로 연주할 뿐만 아니라, 경기 지방의 농악과 「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과 같은 경기도·황해도 가면극의 길놀이에서 호적수(胡笛手)가 흔히 연주하는데 ‘능게가락’이라 한다.

장단은 3분박 좀 느린 4박자(8분의 12박자)인 굿거리장단을 친다. 선율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고, ‘솔’로 마치는 경토리(京調)이다.

선율은 경기민요인 「창부타령」과 비슷하나, 약간 즉흥적이어서 비고정 선율이 많으며 소박하고 흥겨운 가락이다. 문화재보호협회에서 나온『한국전통음악』음반과 국립국악원에서 나온 『국악선집』음반에 녹음되어 있다.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