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당암 극락전 앞에 동서로 자리하고 있는 2기의 석탑으로, 동탑의 높이는 5.62m이고, 서탑의 높이는 5.24m이다. 동화사는 계곡을 중심으로 동서의 두 사역(寺域)으로 구분되는데, 금당암은 동쪽 사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석탑은 동화사 안에 있는 여러 석조물과 비교하면, 동화사 창건 당시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탑은 받침돌 대부분이 후대에 보수되었기에, 원래의 결구(結構) 수법은 조화를 잃었다. 아래층 받침돌은 바닥돌과 면석을 하나의 돌에 새겼는데, 면석에는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새겨져 있다. 특히 모서리 기둥은 대나무 모양으로 조각되어 특이하다. 덮개돌은 윗면 가운데 부분에 ‘정(井)’자형의 테두리 장식이 새겨져 있고, 네 귀퉁이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윗층 받침돌의 면석 역시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이 조각되었다. 덮개돌은 널돌 2장을 옆으로 붙여서 덮었는데, 밑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을 새겼고, 윗면에는 2단의 테두리 장식을 두었다.
탑신부(塔身部)는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 올렸다. 각 층의 몸돌에는 모서리 기둥 외에 다른 조각이 없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 받침을 새겼고, 윗면에는 몸돌을 받치기 위해서 2단의 테두리 장식으로 새겼으며, 전각(轉角)에는 풍탁을 달았던 구멍이 뚫려 있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 위에 복발(覆鉢)·앙화(仰華)·보륜(寶輪)·보주(寶珠) 등의 장식이 모두 남아 있다. 이 석탑 앞에 자리하고 있는 돌로 만든 상은 석탑의 받침돌을 보수할 때 마련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탑은 동탑과 달리 2층의 받침돌로 이루어졌는데, 주변에 받침돌의 덮개돌 조각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받침돌이 3층이었는지, 아니면 동탑의 것을 옮겨온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바닥돌 위에 있는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은 4장의 돌로 구성되었으며,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함께 1개의 가운데 기둥이 새겨져 있다. 윗층 받침돌의 면석은 각 면이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두 면에만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을 새겼고, 다른 두 면에는 가운데 기둥만을 새겨 양쪽에 모서리 기둥을 새긴 면석 사이에 끼워 두었다. 이에 따라 이 면석의 모서리 기둥은 양쪽에 모서리 기둥을 새긴 면석의 옆면으로 처리하였다. 덮개돌은 아래층 받침돌의 경우 널돌 2장을 붙여서 덮었고, 윗층 받침돌은 1장으로 덮었는데, 윗면에 각지고 둥근 테두리 장식을 새겨 놓았다.
탑신부는 동탑처럼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올렸다. 몸돌에는 모서리 기둥 외에 다른 장식을 하지 않았고, 지붕돌에는 밑면과 윗면에 각각 4단의 받침과 2단의 각지고 둥근 테두리 장식이 새겨져 있다.
서탑은 1957년에 해체한 뒤 수리하였는데, 당시에 탑 속에서 소탑(小塔) 99개를 비롯하여 사리장치(舍利藏置)가 발견되었다. 3층 지붕돌 위에는 노반과 찰주(擦柱)만이 남아 있고 다른 머리장식은 없어졌다.
이 두 석탑은 결구 수법이 같고 균형이 잘 이루어져 경쾌한 느낌을 준다. 양식으로 보아, 모두 신라 하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