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봉동굴 유적 (두루 )

목차
관련 정보
청원 두루봉 동굴 유적
청원 두루봉 동굴 유적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집터와 동물상 · 슬기슬기사람의 뼈 관련 생활유적. 동굴.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집터와 동물상 · 슬기슬기사람의 뼈 관련 생활유적. 동굴.
개설

두루봉은 옥천계 암석 중 백봉리층떼의 운교리 터에 자리잡고 있다. 이 근처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배사구조의 날개부분에 해당된다. 단층선을 따라 지하수에 의한 석회암 용해작용이 일어나 신생대 제4기 초에 만들어진 여러 자연동굴이 있다.

이 지역은 1960년대부터 한흥 문의광산에서 석회암 채취를 위한 발파작업이 계속되어, 두루뭉실하게 생긴 원래의 생김새는 이미 거의 다 파괴되어 없어졌다. 이에 유적현장 보존문제와 석회암 발파로 인해 일어날 유적의 파괴문제가 생겨, 제2굴이 1976년 8월 7일부터 13일까지 충북대학교박물관과 연세대학교박물관에 의해 긴급 발굴되었다.

그 뒤 1983년까지 11차에 걸쳐 충북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새굴·처녀굴·제15굴·제16굴·큰용굴이 발굴되었다. 제9굴은 연세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내용
  1. 제2굴

제2굴에서 발굴된 유물에 대한 분석, 연구는 두루봉 구석기문화 전체를 가늠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그 문화상(文化相)은 다음과 같다.

제2굴의 층위는 모두 36개로 구분되어 확인되었다. 1∼6층은 석회마루층이고, 7층은 문화층으로, 흙색깔은 7.5YR 4/4∼5/6(Munsell Soil Colour Charts)이고, 수소이온지수(PH)는 7.9이며, 두께는 약 15㎝인 롬(Loam)층이었다.

동물상(動物相)은 3문 7강 15목 28과 37속 46종으로 우리 나라 유적 중에서 가장 많이 찾아진 것이다. 큰 젖먹이 짐승류가 많으며, 이 중 현재는 없어진 짐승이 8종이나 된다. 제2굴에서 표준화석으로 들 수 있는 것은 쌍코뿔소·동굴하이에나·동굴곰·첫소·큰원숭이들로 따뜻한 시기에 살았던 동물들이다.

고생물학적으로 제2굴과 상대적인 비교가 되는 유적은 상원 검은모루 유적과 덕천 유적이다. 제2굴은 이들 사이에 들어가는 중기 홍적세의 따뜻한 시기의 유적으로 해석된다. 특히, 중국에서 중기 홍적세에 있다가 멸종된 큰 원숭이(Macaca robustus)는 지시화석으로서 이 유적의 상대연대를 비교 측정할 수 있는 자료로 주목된다.

식물상은 숯과 꽃가루가 분석, 연구되었다. 숯에서는 소나무·참나무속·단풍나무속이 찾아졌다. 꽃가루는 2강 3아강 10목 13과 12속 391개, 홀씨 16개, 불분명한 꽃가루 28개로 모두 435개였다.

이것을 다시 나눠보면 나무꽃가루와 풀꽃가루의 비율은 82 : 18이다. 특히, 7층에서는 진달래가 한꺼번에 157개나 나와, 이 층의 사람들은 인류 최초로 꽃을 생활에 쓰고 사랑한 ‘꽃의 첫 사람들’로 여겨진다.

여기에서 발굴된 연모는 돌과 뼈를 재료로 했으며, 연모들 중에는 긁개·밀개·망치 등이 많았고, 격지도 제법 있었다. 뼈를 연모로 만든 방법은 물에 오랫동안 담가놓았다가, 만들기에 좋을 때까지 말린 뒤 만든 것으로 해석된다.

많은 뼈연모와 함께 그 당시 사람들의 사유(思惟)와 의식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예술품이 발견되었다. 예술품은 모두 몸에 지니는 것들로 사람의 얼굴을 나타낸 얼굴모양과 들소모양의 예술품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머리숭배신앙’과 연결된다. 이것들이 모두 굴가의 벽쪽에서 출토된 점이나, 신성한 동물인 사슴·호랑이의 긴 뼈들을 일부러 골라 쓴 점으로 보아 의식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제2굴 구석기문화 분석에서는 발굴된 당시의 살림살이 자료를 가지고 사회구성의 문제에 접근하는 인구고고학의 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이 인구고고학의 연구방법을 통해 얻어낸 제2굴 구석기문화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동물상의 크기와 마리수, 집자리터의 크기, 살림을 했던 사람의 수에 따라서 셈하면 1,670일 정도 살림을 꾸리면서 살았을 것으로 해석된다. 그런데 이들은 이 1,670일의 기간을 철에 따라 조금씩 살고 갔음이 식물상과 사슴이빨의 분석으로 밝혀졌다. 사슴이빨의 분석연구에서는 제2굴 사람들이 9·10월에 가장 많이 사슴을 사냥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 제15굴

제15굴은 제2굴 위로 두루봉 봉우리 가까운 남쪽 언덕에 서있는 바위와 판자바위를 세워 벽을 만들고, 길쭉한 석회석(길이 40㎝ 정도)들을 세워 한 줄의 담돌을 삼았으며, 경사면을 이용해 문돌까지도 만들었다.

집터 가운데에는 뜸숯이 출토되는 화덕자리가 놓여 있었다. 바로 옆에서 석영으로 만든 긁개·찌르개가 집중 출토되어, 불을 이용한 조리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집터의 크기는 9.57㎡ 정도로 작아서, 두루봉에 두루 뚫린 여러 굴이 살림터인데 비해, 이 곳은 남쪽의 병풍처럼 둘러쳐진 산에서 내려오는 짐승을 살펴보는 움막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잡은 짐승의 간단한 조리행위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해석된다.

  1. 새굴

새굴은 두루봉 정상에서 새롭게 찾은 굴이다. 여기에서 나온 동물화석은 옛코끼리상아(길이 67㎝, 지름 7.6㎝)·쌍코뿔소·큰원숭이·동굴하이에나·큰곰·꽃사슴 등으로 지금까지 3강 6목 12과 18속 20종이 밝혀졌다. 옛코끼리상아는 우리나라에서 정식발굴에 의해 찾아진 것으로는 처음이며, 당시의 자연환경과 문화상을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굴의 구석부분 1㎡ 범위에서는 동일한 수법으로 뿔을 자른 사슴머리뼈 13점이 출토되었고, 꽃사슴뿔을 같은 끌로 갈아 만든 치레걸이 2점이 나왔다.

이 유물들은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사슴숭배사상에 따른 주술과 사유의 의미를 복원, 해석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1. 처녀굴

처녀굴은 새굴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해 여기서도 많은 뼈화석이 출토되었다. 그 중 거의 복원된 한 마리분의 쌍코뿔소뼈는 문화해석에 중요한 자료가 되며, 당시의 기후는 더웠던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에서 나온 또 하나의 중요한 자료로 동굴곰 한 마리분이 꽃사슴뿔을 가운데에 놓고서 의도적으로 동쪽을 향해 배치된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의식행위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동굴곰의 화석들은 원래 모습대로 복원되었는데 당시의 의식과 믿음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1. 흥수굴

흥수굴은 1982년 12월부터 1983년 1월까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완전한 사람뼈와 석기·동물화석들이 모두 발굴된 이상적인 구석기 유적의 문화성격을 지닌 곳이라 할 수 있다. 사람뼈는 두 사람의 모든 뼈가 발굴되었다. 이 중 한 사람의 머리뼈(흥수굴 2호사람)는 석회석 광산작업으로 없어졌으나,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사람뼈가 완전한 상태로 나온 것은 처음있는 일이다.

흥수굴 2호사람은 6∼7살쯤 되는 어린이로 뼈의 생김새와 특징으로 볼 때, 정상적인 사람은 아닌 듯하다. 1호 사람은 이보다 어린 3∼4살쯤 되는 어린이로 보이며, 어린이인데도 턱두께가 두껍고 뒷머리뼈 부분이 거친 점 등에서 이른 슬기슬기사람의 뼈로 보인다.

석기는 석영·규암·규장암·반암 등으로 긁개·사냥돌·자르개·찍개·밀개 등의 연모를 만들었고, 굴의 입구 쪽에서는 석기제작소가 발견돼 이곳이 생활의 중심지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화덕자리 옆에서 많이 나온 사냥돌과 찌르개는 당시 사람들의 사냥 및 도살행위를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석영판자돌을 엇갈림떼기해 만든 전형적인 안팎날찍개는 우리나라 구석기의 표준유적인 공주 석장리의 자갈돌찍개와 비교된다. 아울러 규암판자돌의 몸돌로 만든 으뜸주먹도끼는 아시아 주먹도끼 전통문화에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두루봉에는 여러 개의 굴들이 발굴되었다. 각 굴에서 출토된 유물의 특징에 따라 문화적인 시대와 배경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이 유물들은 현재 충북대학교박물관에 상설전시 중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구석기문화』 Ⅱ(이융조, 탐구당, 1984)
「한국 홍적세의 자연환경연구-청원 두루봉 제2굴의 식물상을 중심으로-」(이융조,『동방학지』38, 1983)
「청원 두루봉 제2굴 구석기사회 복원에 관한 연구-동물상의 화석수를 중심으로-」(이융조,『한국사연구』42, 1983)
「청원 두루봉동굴의 구석기 문화-그 굴의 예보적 고찰을 중심으로-」(이융조,『충북대학교론문집』19, 1981)
「청원 두루봉 제2굴 구석기문화 중간보고서」(이융조, 『충북대학교조사보고』2, 1981)
「청원 두루봉 제2굴 구석기문화」(이융조,『개신』22, 1981)
집필자
이융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