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명왕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고구려의 제21대(재위: 491년~519년) 왕.
이칭
이칭
명치호왕(明治好王), 나운(羅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519년(문자명왕 28)
출생지
고구려
주요 관직
고구려 제21대 국왕(재위: 492∼519년)
내용 요약

문자명왕은 491년부터 519년까지 재위한 고구려의 제21대 왕이다. 명치호왕(明治好王)이라고도 한다. 장수왕의 손자이며, 고추대가(古鄒大加) 조다(助多)의 아들이다. 장수왕의 뒤를 이어 왕위를 계승하였다. 광개토왕 및 장수왕의 외교정책에 따라 중국 남·북조의 분열을 이용하여 등거리 외교를 맺으며 안정적 국제 관계 속에서 고구려의 전성기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문자명왕 사후 귀족세력들의 상쟁(相爭)이 이어지고 그 과정에서 국왕이 피살되는 등 국내 혼란이 발생하여 왕권이 크게 약화되었다.

목차
정의
고구려의 제21대(재위: 491년~519년) 왕.
개설

일명 명치호왕(明治好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나운(羅雲)이다. 장수왕(長壽王)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고추대가(古鄒大加) 고조다(高助多)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할아버지에게 양육되다가 장수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문자명왕(文咨明王)은 선대 왕에 이어 중국 남 · 북조(南北朝)와 등거리 외교를 맺어 국제관계를 안정시켰고, 고구려 남쪽 영토를 확장하는가 하면 금강사(金剛寺)를 창건하여 불교를 진흥시키는 등 고구려의 최대 전성기를 이룩하였다.

활동사항

『삼국사기(三國史記)』 등 관련 사료가 소략하여 문자명왕이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지는 잘 알 수 없으나, 498년에 금강사(金剛寺)를 창건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불교를 장려함으로써 고대 국가의 정신적 기반 확립에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대외 관계에서는 전대(前代)의 외교정책에 따라 중국 남 · 북조의 분열을 이용해 국제 질서 속에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였다.

즉, 즉위와 더불어 주1로부터 ‘사지절 도독 요해제군사 정동장군 영호동이중낭장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使持節都督遼海諸軍事征東將軍領護東夷中郎將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으로 봉해졌다. 그러나 책봉과 함께 고구려에 친조(親朝)나 왕자의 입조(入朝)를 요구한 북위의 요구에 대해 고구려가 거절함으로써 양국 간의 이면적인 긴장관계가 계속되었다. 양국은 상호 경계와 견제를 지속하면서도 겉으로는 이른바 조공을 통한 화친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위서(魏書)』 봉의(封懿) 열전에 의하면 거란(契丹)이 북위의 변방주민을 노략질 해 갔는데 이들을 다시 고구려가 데려갔으며, 이에 북위의 사신이 문자명왕에 항의해 모두 돌려받았다고 한다. 이것은 고구려와 연결된 거란의 일부세력이 북위와의 외교적 마찰을 발생시킨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 고구려는 북위의 요구를 수용하여 변방주민을 모두 돌려주는 등 북위와의 우호관계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한편 고구려는 동시에 494년 제(齊), 508년 양(梁) 등 남조의 국가로부터 각각 ‘사지절 산기상시 독 영평이주 정동대장군 낙랑공(使持節散騎常侍都督營平二州征東大將軍樂浪公)’과 ‘무동대장군 개부의동삼사(撫東大將軍開府儀同三司)’로 봉해지는 한편, 조공을 통한 외교 관계도 가졌다. 이러한 남조와의 외교관계를 통해 여전히 북위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494년 물길족(勿吉族)에게 멸망당한 부여(夫餘)의 왕과 그 일족(一族)의 투항을 받아들였으며, 백제와 신라를 침공해 497년 신라의 우산성(牛山城), 512년 백제의 가불성(加弗城) 및 원산성(圓山城)을 점령하기도 했으나, 나 · 제동맹(羅濟同盟)을 통한 백제와 신라의 연합 작전으로 일진일퇴(一進一退)를 거듭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문자명왕은 광개토왕 및 장수왕의 위업을 이어받아 고구려의 전성기를 지속시킨 인물이다. 그러나 문자명왕 사후 귀족세력들의 상쟁(相爭)이 이어지고 그 과정에서 여러 국왕이 피살 되는 등 국내혼란이 발생하여 왕권이 크게 약화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위서(魏書)』
『남제서(南齊書)』
『양서(梁書)』
「고구려의 대남제외교와 그 성격」(김진한, 『東方學志』186 , 2019)
「文咨王代의 對北魏外交 - 北魏 孝文帝·宣武帝의 對外政策과 關聯하여」(김진한, 『韓國古代史硏究』44, 2006)
「고구려(高句麗)와 북방민족(北方民族)의 관계 연구」(강선,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6세기 고구려 집권체제동요(執權體制動搖)의 일요인(一要因)」(김현숙, 『경북사학(慶北史學)』22, 1999)
「5·6세기(世紀) 동(東)아시아의 국제정세(國際情勢)와 고구려(高句麗)의 대외관계(對外關係)」(노태돈, 『동방학지(東方學志)』44, 1984)
「平壤淸巖里廢寺址の調査」(小泉顯夫, 『昭和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 1975 復刊)
주석
주1

중국 남북조 시대의 북조(北朝) 최초의 나라. 386년에 선비족(鮮卑族)의 탁발규가 화베이(華北)에 세운 나라로, 적극적인 중국 동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반란이 일어나 534년 동위(東魏)와 서위(西魏)로 분열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