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2기(基). 높이 각각 3.95m.미륵사지 남쪽에는 현재 2기의 당간지주가 동서로 약 90m의 간격을 두고 원위치에 남아 있는데, 양쪽 지주는 크기가 같고 양식이나 조성수법도 같으므로 같은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두 지주는 50㎝의 간격을 두고 동서로 마주보고 있다. 지주를 받치던 기단부는 현재 완전히 파괴되어 대부분의 부재가 파묻히고 약간만이 드러나 있으나 원형은 짐작할 수 있다.
기단은 장방형으로서 여러 돌을 결구(結構)하여 면석(面石)을 이루었는데, 측면 하부에는 1단의 받침을 조각하였고 사방에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상면에는 별다른 조각이 없으나 정상면에 각형(角形)과 원호(圓弧), 각형의 3단받침을 조각하여 두 지주를 받고 있는데, 당간을 받치고 있던 대석(臺石)이 그 중앙에 있었을 것이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으므로 형태를 알 수 없다.
지주는 파손이 없고 보존상태가 양호한데 내면에는 아무 장식이 없으나 양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외연선(外緣線)을 돌리고 중앙에도 한 줄의 선대(線帶)를 새겼다. 앞뒷면에도 양단을 따라 선대를 조각하여 장식하였으나 중앙에는 선대가 없다. 주두(柱頭)는 내측면 정상에서 외면으로 호선(弧線)을 그리며 경사졌는데 중간쯤에서 1단의 굴곡을 이루었다.
간주(杆柱)를 고정시키는 간(杆)은 세 곳에 마련하였는데 내면 맨 꼭대기의 중앙부에 정방형의 간구(杆溝)가 있으며, 그 하면으로 내려오면서 방형의 간공(杆孔)이 두 군데 설치되었다. 두 지주는 꼭대기 부분에 원호의 장식이 있으므로 하부보다 상부가 줄어든 것같이 보이나 실제는 크게 차이가 없다. 기단 속에 묻혀지는 하단부는 넓이와 두께가 줄어들었으며 아무런 조식이 없이 다듬었다.
이 당간지주는 대체적으로 장식이 적으며 그 형태도 아름답고 화려하다. 가늘고 긴 호형주두(弧形柱頭)에 굴곡을 마련하고 각 측면에 선대를 새겼는데, 이러한 수법은 숙수사지당간지주(宿水寺址幢竿支柱)와 부석사당간지주(浮石寺幢竿支柱)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성연대는 통일신라시대 중기 이전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