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무회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태종의 장인, 민제의 4남으로, 태종이 여흥민씨 가문을 배척함으로 인해 형 민무휼과 함께 유배되어 자결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16년(태종 16)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태종의 장인, 민제의 4남으로, 태종이 여흥민씨 가문을 배척함으로 인해 형 민무휼과 함께 유배되어 자결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민적(閔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민변(閔忭)이고, 아버지는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이며, 어머니는 송선(宋璿)의 딸이다. 태종비(太宗妃)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동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02년(태종 2) 주부(主簿)로서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식년 문과(式年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407년 이성군(利城君)에 봉해지고 벼슬이 공안부윤(恭安府尹)에 이르렀다.

1415년 공안부윤으로 있을 때 황주목사(黃州牧使) 염치용(廉致庸)이 노비 문제에 관하여 충성스럽지 못한 말을 한 것을 듣고도 보고하지 않은 죄로 연루되어 그 해 직첩(職牒)을 빼앗기고 서인이 되었다. 처음 이 사건은 비교적 단순한 노비 결송 사건(奴婢決訟事件)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옥으로 발전되어 마치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을 연장한 것과 같은 양상을 띠게 되었다.

또한 같은 해 6월, 민무회와 형 민무휼(閔無恤)에 대한 세자의 갑작스러운 발언으로 형세가 더욱 불리하게 되었다. 그것은 전년 4월 원경왕후가 병이 들었을 때 세자와 민무휼과 함께 병을 돌보는 자리에서, 민무회와 민무휼이 성격을 고치려는 생각이 전혀 없고 허망한 말만 하고 다닌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세자는 학문에 뜻을 두지 않고 성격이 호탕하여 태종의 뜻에 맞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세자는 자신의 불명예를 씻고 입지를 세워보려는 목적에서 자신과 행동을 같이 해온 민무회·민무휼의 죄를 드러냈던 것 같다.

민무회는 세자와 대질하여 대체로 일이 밝혀짐에 따라 원하는 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 뒤 대간의 상소로 원윤(元尹) 이비(李裶)의 참고사건(慘苦事件: 1402년 12월 이비가 출생할 적에 정비가 질투하여 그 모자를 죽이려고 추운 곳에 방치한 사건)이 밝혀지자 민무휼과 함께 유배지에서 압송되어 국문을 받게 되었다.

이때 민무회는 형 민무구 등이 죄없이 죽었다고 항변하여 목숨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국문이 끝나자 청주로 쫓겨나서, 4일 만에 유배지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태종의 외척제거에 대하여-민씨형제의 옥-」(김성준, 『역사학보』 17·18합집호, 196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