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내현 ()

박내현
박내현
회화
인물
해방 이후 「부엉이」 · 「노점」 · 「작품 19」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우향(雨鄕), 박래현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0년 4월 13일
사망 연도
1976년 1월 2일
출생지
평안남도 진남포
내용 요약

박내현은 해방 이후 「부엉이」·「노점」·「작품 19」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이다. 호는 우향(羽鄕)이다. 1937년 경성관립여자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43년 도쿄의 여자미술전문학교 사범과 일본화부를 졸업했다. 1941년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고, 1943년에는 총독상을 수상했다. 전통적인 동양화 재료를 구사하면서 서구적인 공간 설정을 화면 속에 끌어들여, 감각적인 색채와 대담하고 강렬한 화풍으로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했다. 1956년 제5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와 제8회 대한미술협회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정의
해방 이후 「부엉이」 · 「노점」 · 「작품 19」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호는 우향(雨鄕). 평안남도 진남포 출신. 군산으로 이주하여 일본인 미술교사 에구치 게이시로(江口敬四郞)로부터 지도를 받았다. 1937년 경성관립여자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43년 9월 일본 도쿄의 여자미술전문학교(女子美術專門學校) 사범과 일본화부를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전북 순창공립보통학교에서 교직생활을 시작하였으나 2년만에 사임하고 일본에 건너가 1940년 도쿄의 여자미술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재학중이던 1941년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첫 입선하고, 1943년에는 특선에, 총독상을 수상하였다. 초기에는 사실묘사를 기초로 한 화조, 인물, 산수 등을 그렸으나 1950대부터 동양화의 전통적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조형실험을 전개하였다.

이후 1956년 제5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와 제8회 대한미술협회전에서 각각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화단의 주목을 끌었다. 국전 초대 작가와 심사 위원을 역임하였으며, 백양회(白陽會)의 창립 회원으로 활약하였다. 1967년 상파울루비엔날레(Sao Paulo Biennale)의 한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출국하여 남미(南美) 각국과 멕시코 등지를 시찰하였고, 이러한 여행을 계기로 서구 미술의 방법론과 판화에 눈을 뜨게 되었다.

1969년부터 1974년까지 미국 뉴욕의 밥 블랙번(Bob Blackbunn) 연구소와 프렛(Pratt) 그래픽 센터에서 판화와 타피스트리(tapestry)를 공부하고 귀국하였다. 귀국 후 신세계미술관에서 개최한 귀국 판화전은 우리나라 화단과 판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5년 다시 판화 수업을 하기 위하여 미국에 갔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그해 11월 귀국하였다. 그러나 회복하지 못하고, 1976년 1월 2일 성북동 자택에서 타계하였다.

1946년 김기창(金基昶)과 혼인한 이후 그와 더불어 국내외에서 1947년 이래로 모두 10여 차례의 부부전과 개인전을 가졌다. 전통적인 동양화 재료를 구사하면서 서구적인 공간 설정을 화면 속에 끌어들여, 감각적인 색채와 대담하고 강렬한 화풍을 이룩하는 등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하였다. 그의 이러한 회화 세계는 대체로 4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제1기(1940년대)는 일본 화법에 근거를 둔 인물화 작품이 주류를 이루던 시기이다. 제2기(1950년대)는 김기창과 더불어 동양화의 재료를 가지고 서양 현대 조형이 쌓아 올린 분석적인 방법을 원용하여 대상에 대한 입체적인 형태 해석과 면 분할이라는 반추상적(半抽象的)인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제3기(196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주1이 강한 화풍을 이루었다. 제4기(1970년대)는 판화라는 새로운 기법을 통하여 독자적인 회화 세계를 보여 주었다. 대표작으로 「단장」(1943) · 「노점(露店)」(1956) · 「이른아침」(1956) · 「작품 19」(1965년) · 「작품 F」(1973년)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40년 선전 최고상(창덕궁상), 1956년 제8회 대한미술협회전 대통령상, 1956년 제5회 국전 대통령상, 1972년 문화공로상, 1974년 제6회 신사임당상 등을 수상하였다. 1978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유작전이 개최되었다. 2020년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탄생100주년 기념전이 열렸다.

참고문헌

『우향 박래현 판화전』(최병식, 시몽화랑, 1995)
『우향 박래현』(경미문화사, 1978)
『한국현대작가십인』(오광수, 열화당, 1977)
「박래현, 그의 작품세계」(김성희, 『한국현대미술가100인』, 한국미술평론가협회, 2009)
주석
주1

실제로나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성질. 또는 그런 경향.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