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 목조 사천왕상 ( )

목차
관련 정보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천왕상.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천왕상.
내용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2m, 너비 2.9m. 현존하는 조선시대 사천왕상 중 가장 오래된 사천왕상일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이전에 제작된 유일한 상이기도 하다. 1539년(중종 34)에 처음으로 조상하였고, 그 후 1668년(현종 9)과 1777년(정조 1)에 중수하였다.

16세기 초에 제작된 이 사천왕상은 천왕문에 안치된 목조사천왕상 가운데 가장 세밀한 제작 기법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전체적인 균형감과 함께 활달한 율동감은 이 작품의 우수성을 유감 없이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후로 만들어질 조선 후기 사천왕상의 전형(典型)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칼을 들고 있는 사천왕상이 일반적으로 긴 칼을 오른손으로 들고 있는 것과 달리 양손에 짧은 칼을 잡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얼굴은 굴곡이 없이 원통형으로 처리되었으며 눈동자에는 마노(瑪瑙)와 같은 광물질을 박아 처리하였다. 두 눈을 부릅뜨고 있으나 무서움을 주지 않는 온화함을 느끼게 한다. 화려한 보관의 높이가 얼굴의 길이보다 더 길게 강조되어 있다. 4위(位) 천왕의 팔꿈치 대의가 모두 심하게 말려 위쪽으로 올라갔으며 이것을 묘사한 기법은 천의 자락의 현란한 표현 기법과 더불어 이 작품의 우수성을 잘 보여 주는 면이라고 하겠다.

팔뚝이 신체 비례보다 강조되는 반면 가슴과 배 부분이 빈약하게 표현되었다. 보림사 사천왕 4위의 신체 구조는 팔꿈치에서 손가락까지만 변화가 있을 뿐 거의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것은 목조사천왕상들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팔뚝에서처럼 신체의 강건함을 강조하려는 듯 다리의 자세에서도 두툼한 질량감을 드러내고 있다.

3위 모두 왼쪽 다리를 들고 오른쪽 다리를 수직으로 내리고 있는데 용, 보주를 든 사천왕만이 두 다리를 아래로 내리고 있다. 현재 발밑의 악귀는 보탑을 든 천왕의 왼쪽 1구만 남고 모두 없어졌으며 4위 모두 발을 허공에 띄우고 있는 점을 보아 8구의 악귀가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전라남도 영광 불갑사의 사천왕상과 거의 흡사한 점으로 보아 불갑사상의 모본이 된 것으로 보인다. 1995년 2월에는 이 상의 해체 조사 작업 중 무릎과 발 등에서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국보급 희귀본을 포함한 전적류 250여 권이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가지산 보림사』(순천대학교박물관, 1995)
『장흥군의 문화유적』(목포대학교박물관, 1989)
「조선후기 사천왕상에 대한 고찰」(노명신, 『미술사학연구』 202, 한국미술사학회, 199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