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살풀이춤
살풀이춤
국악
개념
살풀이장단으로 부르는 무가, 살풀이장단으로 추는 춤, 살풀이장단으로 연주하는 시나위의 약칭.
목차
정의
살풀이장단으로 부르는 무가, 살풀이장단으로 추는 춤, 살풀이장단으로 연주하는 시나위의 약칭.
내용

따라서, 살풀이라고 불리는 무가·춤·기악은 모두 살풀이장단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살풀이라는 말은 굿에서 살(煞)을 푼다는 뜻으로 알려졌으나, 살풀이장단으로 된 무가·춤·음악이 무의식(巫儀式)에서 살을 푸는 데 쓰이는 예가 없기 때문에, 살풀이라는 말의 뜻은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살풀이장단에는 살풀이·꺾음살풀이(반살풀이·자진살풀이)·겹살풀이·도살풀이·동살풀이가 있다. 살풀이장단은 충청남도 및 전라북도 무가에 쓰이는 것으로 3소박 느린 4박자(8분의 12박자)이다.

꺾음살풀이는 좀 빠른 한배로 된 살풀이장단이며, 겹살풀이는 겹가락으로 치는 살풀이장단이며, 동살풀이는 경상도 무가에서는 3소박 보통빠른 4박자(8분의 12박자)이며, 전라남도 무가에서는 2소박 보통빠른 4박자(4분의 12박자)이다.

도살풀이는 경기도 남부 무가에 쓰이는 것으로 2소박 좀 빠른 6박자(4분의 6박자)이다. 살풀이장단으로 추는 춤은 전라도, 충청도 서부 무의식춤에 있고 남쪽지역 민속춤에도 있는데, 이 춤이 창우들에 의하여 예술화된 살풀이춤이 생겼다.

이 살풀이춤 반주음악 또한 살풀이장단에 시나위를 연주한다. 이 시나위 역시 살풀이라고도 한다. 요즈음 신무용에 살풀이장단이 쓰이지 않으면서 살풀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전통적인 살풀이라는 공연예술의 개념과 다르게 되어 있다.

참고문헌

「살풀이와 도살풀이와 동살풀이」(이보형, 『민족음악』2, 서울대학교동양음악연구소, 197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