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정면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건립된 3층 석조 불탑. 석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尙州 化達里 三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857, 417-4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건립된 3층 석조 불탑. 석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6.24m. 사벌국왕릉(沙伐國王陵)이라고 전하는 곳의 바로 서쪽에 세워져 있다. 8매의 장대석으로 구축한 지대석 위에 탑을 세웠는데, 기단부는 단층으로서 하층기단 면석(面石)을 생략한 형식이다.

8매석으로 구성된 하대석은 마치 하층기단의 갑석(甲石)과도 같이 그 상면에 높직한 원호(圓弧)와 낮은 각형(角形)의 굄을 조출(彫出)하여 그 위에 기단 면석을 받고 있으며, 상면 네 귀퉁이에는 약간의 경사로 합각(合角)이 뚜렷하다.

기단면석은 8매석으로 짜여지고 각 면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정연한데, 8매석은 네 귀퉁이에 1석씩을 놓고 각 면 중앙에는 탱주를 각출한 소형 석주(石柱)를 세워놓았다.

기단갑석은 4매석으로 결구되었는데 하면에는 부연(副椽 :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마련되고 상면은 경사로 합각이 뚜렷하며, 중앙부에는 1단의 높직한 각형 굄이 각출되어 탑신부를 받고 있다. 이 갑석은 다른 석탑에 비하여 이례적으로 넓어서 신부(身部)와 면석보다 상당히 두출(斗出)되었음을 느끼게 한다.

탑신부는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이 각 1석씩으로 조성되었는데, 각 층 옥신에는 양쪽에 우주가 새겨졌다. 각 옥신석의 체감률은 일반적인 법식을 따라 이루어졌는데, 초층만은 특히 광대하여 기단의 높이보다도 훨씬 높은 이형(異型)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2 · 3층의 옥신석은 완전하나 초층만은 파손되었다.

초층과 2층의 옥개석은 받침이 5단이고 추녀에는 낙수홈이 오목새김되지 않았으며, 상면에는 1단의 각형 굄을 각출하여 그 위층의 옥신을 받고 있는데, 3층옥개석은 받침이 4단이며 상면에는 원호와 1단의 낮은 각형 굄을 마련하여 그 위의 노반(露盤)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정면(頂面) 중앙에는 지름 9.5㎝, 깊이 6㎝의 찰주원공이 있는데, 그 위의 상륜부(相輪部)는 노반석부터 한 부재도 남아 있지 않다. 이 탑은 낙수면이 평박하고 사방 합각선(合角線)이 예리하며 직선을 이룬 추녀에 네 귀퉁이 전각의 반전이 강하여서 경쾌한 탑신부를 이루고 있다.

탑신부에서는 옥개받침이 각 층이 같지 않고 3층은 4단으로 줄어들었으며, 또 옥신굄과 기단갑석 상면의 탑신 굄도 1단으로 약화된 점은 8세기에 건조된 정연한 신라식 석탑보다 시대가 떨어짐을 보여준다.

이 석탑과 같이 하층기단을 생략하고 단층기단만으로 되어 있는 신라석탑으로는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탑의 각 부 양식 및 조성수법으로 보아 건립연대는 9세기경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 탑의 기단갑석 위에는 석불좌상(石佛坐像) 1구와 석탑부재 1석이 놓여 있으나, 모두 석탑과 관계있는 유물은 아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4 보물 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